지역비교 기준 문의

안녕하세요!

30살 무주택자 직장인 RyanY입니다.


예산 내 대표지역 2곳으로 서울시 관악구와 용인시 수지구가 필터링되었습니다. 관악구는 경사가 있는 숲세권 아파트만 있는 반면, 동일 급지의 용인시 수지구 아파트들은 죽전 역세권임과 동시에 평지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질문은 2가지인데, 첫째, 실거주와 투자를 동시에 고려할 때, 서울 지역 아파트들을 다른 지역 아파트보다 우선 시 해야할까요? 둘째, 20년 1월 매매가 기준으로 한다면 수지구 대비 관악구 아파트가 더 높았지만 현재는 비슷한 상황인데, 이를 어떻게 해석해야할까요?


감사합니다.


댓글


내꿈찾user-level-chip
24. 01. 21. 00:43

안녕하세요 RyanY님 관악구와 수지에 대한 고민이 있으시네요 결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서울이라서 무조건 경기도보다 좋다!라고 말씀드릴 순없어요. 지역내에서도 각 단지가 가지는 가치가 다르기 때문에 개별 단지가 가지는 가치를 볼 수 있는 실력을 키워우는게 우선시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같은 돈이면 더 좋은 단지를 해야하는것이 맞으나 서울지역 아파트가 다른지역아파트보다 좋은것인지를 차근차근 공부하셨으면 좋겠고 이전 고점 대비 더 높았던 단지가 현재 비슷했다면, 전고가 더 비싼던 곳이 더 싸진것이라고 볼수는 있을것 같네요 대신 그 사이에 두 지역간의 입지가치의 변화가 없다는 것이 전제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지역을 직접 가보시면서 단지의 가치를 이해해보시고 혼자가 어려우시다면 수도권에 대한 내용을 담고있는 강의들(서울투자기초반, 용인수지특강 등을 들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사보이호텔user-level-chip
24. 01. 21. 23:15

안녕하세요 RyanY님. 부동산 투자에서 서울이라는 것은 상당히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부동산 투자에서 유의깊게 보셔야 하는 것은 행정구역상의 서울이 아닌 실질적으로 중심 기능을 하는 서울이 어디인가입니다. 너바나님이 강의에서도 말씀하셨듯이 현재 서울의 중심은 강남이고, 강남까지 한시간 내 접근 가능한 곳이 행정구역이 아닌 실질적인 서울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질문주신 관악구와 수지구 죽전은 모두 강남 접근성이 한시간 내로 기본적인 입지가치가 있는 곳입니다. 다만, 이럴경우 좀 더 디테일하게 단지vs단지 비교가 필요하며 각 단지가 가지고 있는 가치가 얼마인지에 따라서 싼지 비싼지를 평가해볼 수 있습니다. 가장 직관적으로 비교해볼 수 있는 것은 과거 전고점을 가지고 비교해보는 것입니다. 다만 다음 상승장에서도 100% 적용될 수는 없으므로 참고로 하시고 임장과 지역조사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평가해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행복한노부부user-level-chip
24. 01. 21. 23:58

안녕하세요 RyanY님 :) 실거주와 투자를 동시에 고려하면서 궁금증이 드신 거 같습니다. 1. 서울지역아파트가 항상 다른지역아파트보다 우선시 해야하는 건 아닙니다. 서울 하위단지보다 강남접근성이 좋은 경기도 상위단지라면 경기도의 단지가 더 우선될 수 있습니다. => 개별 물건마다 다르다. 2. 해당 단지가 어떤 단지인지 몰라 확실한 답변을 드리긴 어렵지만, 주변 입지나 상황의 변동이 없었다면 보통 지난 상승장의 전고점 기준으로 참고해 볼 수 있습니다. 수지단지보다 관악구의 단지의 전고점이 더 높았다면, 보편적으로 현재 관악구의 단지가 저평가 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실거주를 함께 고려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더욱 신중하게 공부를 해서 지역을 확인하고, RyanY의 상황에서 선택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선택을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서울투자기초반 강의 추천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