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너나위의 내집마련 기초반 - 월 300만원 직장인이 서울 내집마련 하는 법
자음과모음, 너나위, 코크드림

2주차 강의에서 새롭게 알게 된 점
1) 나와 나의 가족이 아닌 타인의 시선에서 집을 봐야 할 것
2) 항목별 (교통 환경 학군 직장)로 우선순위를 매겨 하나하나 비교할 것
3) 수도권과 지방간의 비교 기준, 항목 기준이 다른 점
4) 강남 접근성의 중요성
1) 나와 나의 가족이 아닌 타인의 시선에서 집을 봐야 할 것
→ '나'보다는 '타인'의 시선에서 매력적인 집인가를 먼저 생각하는게 중요하다는 점은
정말 중요한 대목인 것 같습니다. '나'와 '내 가족'이 살기 좋다고 해도 언제까지나 그럴 수는 없는 것이고,
언젠가는 이 집을 팔고 다른 집으로 옮겨갈 날이 있을텐데 그 때 아무도 이 집을 매력적으로 생각하지않아
수요가 없다면 그 또한 큰 문제일 것입니다. 또한 상승장에는 내가 좋아하는 아파트보다는 다른 사람들이
선호하는 아파트의 가격 상승폭이 훨씬 더 클텐데 나중에는 옮겨가고 싶어도 그러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확률이 클 것입니다. 수요가 많은 집의 가격 상승폭이 더 클 것이고, 거래량도 많을테니까요. 이는 내 집마련
의 관점에서도 그렇지만 투자의 관점에서는 더더욱 그럴 것이기에 앞으로 아파트 단지의 입지 분석 및 임장을
다닐 때 타인의 관점에서 이 아파트가 매력적인가를 먼저 봐야 될 것 같습니다.
2) 항목별 (교통 환경 학군 직장)로 우선순위를 매겨 하나하나 비교할 것
→ 교통과 학군에 대하여는 대체적으로 안다고 생각하였으나, 새로운 내용들이 있었고 그 기준으로 볼 때 더
많은 것들이 보였습니다. 예를들면, '교통이 좋다'라는 말은 단순히 '지하철역과 버스정류장이 많다' 정도로
이해하고 있었는데 '강남까지 한 번에 들어가는 지하철 노선이 있는 곳에 있는 아파트의 입지가 좋은 것이다'
라는 내용은 처음이었습니다(2,9,신분당,7). 학군 또한 단순히 주변 학교 갯수와 학원가 규모정도로 알고
있었으나, 학업성취도율이라는 지표를 배웠고 '아실'에 들어가 제가 사는 노원구의 학업성취도율과 강남3구
의 학업성취도율을 비교해보는 시간도 가졌습니다. 환경이라는 기준도 매번 어느 지역을 가면 단순히 주변
상가에 식당이 많거나, 대형마트가 있거나, 술집과 병원들이 많고 단지 내외 주변이 깨끗하고 조용하면 환경이
좋은 정도로 알고 있었는데 주변에 백화점, 대형 마트, 스타벅스의 갯수를 조사해볼 생각은 못했었습니다.
앞으로는 강의에 제시된 항목들의 갯수를 수치화해서 정리해볼 생각입니다.
3) 수도권과 지방간의 비교 기준, 항목 기준이 다른 점
→ 단순히 수도권의 기준을 지방에 적용해서는 안된다는 점도 새롭게 알게 되었습니다. 어찌보면 당연한 것들
인데 놓치고 있는 부분이 많았고, 지방 대표도시들을 새롭게 알게 된 점 또한 매우 좋았습니다. 이 부분에서는
'지방에 재건축을 보고 아파트를 사려는 분들은 은마아파트를 봐라'라는 말씀이 와닿았고, 지방에 아파트를
구매할 때는 수도권에 구매할 때보다 연식을 중요하게 보라는 말씀이 무슨 말씀이신지 알았습니다.
4) 강남 접근성의 중요성
→ 강의 내내 강남과의 거리, 강남까지의 교통편, 강남의 학군, 강남의 교통등을 설명하셨습니다. 솔직히 강의를
듣기 전 제 기준으로는 강남과의 거리나, 강남까지의 교통편, 학군 등은 저와 관련이 없는 이야기인줄 알았습
니다. 저는 강남에 잘 나가지도 않고, 강남으로 직장을 다니지도 않으니까요.... 그런데 강의를 들은 후 여러
데이터와 지표들이 해당 기준들에 의해 바뀐다는 것을 알았고, 이래서 '대한민국의 기준이 강남이구나' 하는
것을 알았습니다. 심지어 '내가 살고 있는 노원은 강남까지 가려면 1시간이 걸리지만 다행히 7호선에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고, '가진 예산 안에서 2,9,신분당,7호선 중에서는 7호선 라인에 집들을 먼저 봐야겠구나'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나만의 기준을 세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렇게 꾸준히 만들어진 데이터들을 기반
으로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자료들을 먼저 공부하는 것이 맞는 것 같고, 나만의 기준은 그 객관적 데이터들을
어느정도 알고 난 다음 세워 봐야 할 것 같습니다.
→ 하락장에 매수하지 않으면 다음 상승장에도 집을 살까 말까 고민중일 것입니다.
뚜렷한 기준과 원칙을 가지고 과감하게 행동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기초부터 열심히 공부하고, 따라가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