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타임이즈골드입니다
최임제출이 끝나고 센스튜터님의 비교평가 강의라니
이것 참 귀하군요 ㅎㅎ
모든 월부인이라면 마주하는 비교평가의 벽!
사실 완벽한 정답이란 것은 없기에
결론 내는 것이 맞다 틀리다 의 개념도 아니고
결론을 내고서도 갸우뚱 하는 것은 정상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두 각자의 자본과 각자의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곳을 임장하였다 하더라도
실제 투자할 단지는 다를 수 밖에 없죠!
아무튼 제가 1등뽑기했던 방법론에 대한 복기와
적용할 점이 자연스럽게 보이게 되었습니다.
가격대를 고정하고 가치를 비교
vs
가치를 고정하고 가격대를 비교
비교평가에는 다음과 같이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가격은 손품으로 누구나 다 알 수 있는 부분이며
그 가치는 직접 발품으로 현장을 돌아다니면서
알 수 있는 영역입니다.
어느정도 실력을 갖춘 투자자라면
똑같은 가치를 가졌다고 판단하고, 가격대를 비교하겠지만
똑같은 가치라는 것은 명확히 눈에 보이지 않기에
가격대를 고정하고 가치를 비교하는 것이
좀 더 쉽고 simple하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지역 내 비교평가
지역 간 비교평가
급이 다른 지역 간 비교평가
순으로 강의를 해주셨는데요
지난달 실전반때 들었던 식빵파파님의 비교평가 강의가
머릿속을 스쳐갔습니다.
오프강의때 식빵파파님 옆자리에 앉게 되어서
강의 너무 좋았어요~ 잘들었다고 말씀드리려했는데,
쭈구리라 아무 말도 못했네요 ㅠㅠ
사실 들어보면 기초반에서도 전부 다루는 내용이지만
적용할때마다 왜 항상 잘 못하는지 ㅎ;
최대한 고정할 것은 고정하고
선호도 순으로 나열하여
내 상황에 맞는 투자우선순위 단지를 택합니다.
거기에 더 나아가 지역간 가치를 나래비하고
거기에 더 나아가 지역간 급지차이를 나누어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
이것이 비교평가의 전부입니다
너무나도 완벽하게 결론을 내려고 했던 점이
역설적으로 오히려 확신이
들지 못하게 했던 것 같습니다.
단지 선호도를 1등부터 100등까지 순위를 나열하는 것이 아닌
아무리 생각해도 막상막하의 선호도라면
그대로 받아들이고
투자금, 물건의 상태와 상황이
나에게 더 맞는 물건을 투자하면 되는 것이었습니다.
수도권에 투자할까요? 광역시나 중소도시에 투자할까요?
나의 자금, 현금흐름, 나의 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방향성을 잡을 수 있는 투자자가 되어야 합니다.
모든 사람이 수도권에 투자를 하고 싶어할 것입니다.
하지만 냉철하게 자신을 돌아보면서
나에게 맞는 투자방향은 지방소액투자를 통해
투자 경험과 종잣돈을 더 쌓아 수도권투자하는 것이
맞는방향이라고 생각하였고 이 생각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내가 할 수 있는 선에서 최선의 투자를 하는 것이
올바른 길인 것을 알고
센스튜터님과 마찬가지로
제가 제일 잘하는 꾸준히 정진해 나가겠습니다.
내 상황에 맞는 1호기.. 가즈아 골드야!
댓글
타임이즈골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