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더 늦기전에! 1억으로 서울∙경기 투자하는 법
월부멘토, 권유디, 양파링, 프메퍼, 주우이

안녕하세요. 캡틴8입니다.
서울투자기초반 1주차 강의를 통해 서울이라는 도시의 전체적인 느낌을 경험한 기분입니다.
울산에서 태어나고 충북 진천에 거주하고 있는 저에게 서울은 복잡하고 사람 많은 대도시의 이미지였습니다.
1주차 강의를 통해 서울투자 로드맵과 서울 25개구의 특징, 그리고 서울투자의 기준까지 배울 수 있었습니다.
<서울투자 로드맵>
서울 아파트 투자 로드맵 파트에서는 가치성장투자와 소액투자의 두 사례를 통해 상세하게 살펴 보았는데요,
전체적인 투자 흐름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제가 실제로 행동하는 데 까지는 많은 공부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한, 과거 10년 전부터의 사례로 시작하다 보니 현재의 (매매 또는 전세) 가격과 차이가 나는 부분이 현실과 차이를 느끼게 했습니다.
“스스로의 상황을 알고 가야할 방향을 정하면 된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현재 제 상황은 앞마당을 많이 늘려나가야 합니다.
내년 상반기에 묶여있는 종잣돈을 갖게 되는데, 그 시기까지 좋은 물건을 골라낼 수 있는 눈을 길러나가야 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서울 25개구 특징>
1~5급지를 구분 할 수 있고, 각 구별 특장점과 가격 특징을 숙지 할 수 있었습니다.
무조건 서울이라고 투자하기에 좋은 것은 아닌 듯 합니다.
우리가 강의를 수강하고 임장을 다니는 이유는 좋은 가치의 물건을 싼 가격에 사기 위함임을 다시한 번 숙지할 수 있었습니다.
<투자기준>
세 가지의 투자 기준을 정리 할 수 있었습니다.
저평가, 전세가율, 비교평가가 그 기준이었는데요,
실제 매물을 예시로 보면서 기준에 맞춰 판단하는 연습해볼 수 있었습니다.
전체적으로 서울투자를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학습한 강의였습니다.
구체적으로 25개 구의 특징과 로드맵 예시로 시뮬레이션을 돌려 볼 수 있었고, 투자 기준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우선 현재의 내 정보수준과 종잣돈 수준을 다시 한번 살펴보며,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해나가야 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남은 2주 간의 강의를 완강하고,
-배정받은 동작구 임장과
-임장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이 이번달 목표입니다.
댓글
캡틴8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