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독서TF 아빠 어ㄷ1가 책읽어조 오름지기]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 독서 후기

  • 24.01.25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 / 너나위님



1. 책을 읽고 본 내용을 써 주세요. (책의 핵심과 챕터별 요약정리)

이 책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통화 가치 하락 속에서 급여 생활자의 한계와 노후 준비의 필요성에 대해 역설하며 저자 너나위님의 투자 방식과 상품, 부자의 마인드에 대해 실전 투자 예시를 들며 설명한다.


1장: 직장인의 소득 상승의 한계와 한국 노후 빈곤의 현실을 환기하며 직장인에게 투자는 필수임을 강조한다. 길어지는 기대 수명 대비 점점 짧아지는 경제활동기간을 비교하며,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지금이 투자를 시작할 적기이다.


2장: 1장에서는 투자를 통한 노후 준비의 필요성을 느꼈자면, 이번 장에서는 투자를 위해 직장인이 돈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내가 시간을 투여해야만 하는 능동소득에서 일하지 않아도 발생하는 수동소득으로 자신의 현금흐름을 옮겨가는 것이 노후 준비의 핵심이다. 때문에 저자는 이를 위해 직장인은 급여를 저축하여 자본화하고, 이 자본으로 수동소득을 창출할 자산을 매수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저자는 정보 대칭성, 레버리지 등의 이유로 여러 투자 상품 중에서 아파트를 선택하였다.


3장: 이번 장에서는 저자가 실행한 전세 투자라는 방식의 여러 예시를 들어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여기서 중요한 메시지는 레버리지를 활용하면 소액으로도 아파트라는 자산을 취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저자는 자산을 취득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저평가 안목, 협상 방법, 투자 기준에 대해서 자신만의 방식을 제시한다.


4장: 3장에서 실전 사례로 독자의 이해를 도왔다면, 4장에서 본격적으로 저자가 실행한 시스템 투자의 개념과 정의에 대해 설명한다. 시스템 투자는 1년 내 저축금액을 기준으로 소액 투자를 통해 1~2채씩 자산을 취득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저축금액에 더해 자산에서 나오는 현금흐름을 활용하여 자산을 취득하며 자산 시스템의 규모를 확장한다. 이번 장에서 저자는 이 투자 방식에 대한 여러 가지 궁금증에 대해 설명한다. 직장인에게 월세 투자보다 시세차익형 투자가 더 나은 이유, 잃지 않는 투자의 개념, 리스크 관리 방법 등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한다.


5장: 5장에서는 부동산 투자의 기준, 시장 흐름, 지역조사/임장방법 등 저자의 다년 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노하우를 전달한다. 이 장의 핵심은 바로 투자 기준에 되는 아파트 입지 요소 (직장, 교통, 환경, 학군)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


2. 책을 읽고 깨달은 내용을 써 주세요.


/


3. 책을 읽고 삶에 적용할 부분을 써 주세요.

이 책을 재독하면서 나는 무엇보다 너나위님의 임장과 협상 노하우와 부자로서의 마인드셋을 다시 벤치마킹하여 초심과 기본기를 다져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저자가 본격적인 투자 활동을 시작했던 2016년은 서울/수도권 상승장 초입으로 전세 강세장에서 투자금을 줄여 소액으로 다주택 시스템을 만들기에 적합했다. 이러한 환경과 저자의 투자 방식이 잘 맞아 떨어졌고, 이어지는 역대급 코로나 유동성장에 시스템의 시가총액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

현재 지역 별로 사이클이 상이하여 빠르면 1~2년 내 상승장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들이 꽤 있다. 이 때 저자의 방식을 벤치마킹하여 시스템을 쌓아나간다면 다가오는 상승장에서 좋은 투자 성과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4. 논의하고 싶은 점

앞으로는 인플레이션율 이상으로 상승하는 주택 매매가격과 상승폭이 매우 제한적인 소득 사이에 대출(유동성)의 비중이 높아질 것 같다. 이런 상황에서 대출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10년 전 5천 만원 이내의 소액 투자와 이후 같은 투자금으로 매수할 수 있는 주택의 가치가 다르지 않을까 한다. 앞으로 매수금액에서 대출의 비중이 높아지는 시대가 오면, (이에 더하여 인구/세대수 감소로 지역/단지간 양극화가 더 심해진다면) 무조건 투자금을 줄여서 주택 수를 늘리는 것이 여전히 효율적일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에 대해서 다른 동료들의 생각이 궁금하다.


댓글


오름지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