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실전준비반 3강 강의 후기 [실전준비반 50기 32조 미쉘P]

  • 24.01.28

종자돈을 키우기 위한 or 잃지 않는 투자를 위한 첫 투자 방법, 리스크 관리를 위한, 투자 가능한 "절대가" 수준알기


3주차 강의에서는 앞마당을 통한 투자 단지들을 찾은 후, 실제 매물 임장을 통한 투자 후보 단지를 선택,

앞마당 내, 지역간 투자 후보 단지의 비교를 통해, 더 많이 벌 수 있는 투자를 실행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특히, 투자는 매수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전세 세팅"이 더욱 중요한 프로세스이기 때문에,

실제로 어떻게 진행이 되는지, 이 모든 진행 과정에서 어떻게 부동산과 매수자, 세입자와 협의를 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협상 방법을 예시를 통해 설명해 주셔서 앞으로 내가 감당해야 할 프로세스를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종잣돈을 키우기 위해 피할 수 없는 지방 투자는 서울, 수도권의 우선순위와는 전혀 다르다는 것,

DSR 계산법을 통하여 내가 투자할 수 있는 단지의 절대가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알아봐야 한다는 점 등,

첫 투자를 할 경우에 피해야 할 행동들, 놓치지 말아야 하는 유의할 점 등이 매우 유익했습니다.


투자에서 완벽한 매물을 찾고, 완벽한 수익율을 만들어 내겠다는 욕심보다는 "잃지 않는 투자"에 집중해야 한다, 적지 않은 종잣돈을 한 번의 투자에 올인해서 단 번에 수억의 수익을 기대하기 보다는, 잔금이나 역전세 등을 감당할 수는 수준의 절대가와 투자금으로 무리하지 말아야 한다.


첫 투자로 홈런을 칠 수 없기 때문에 투자 경험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기에, 수도권 뿐 아니라 지방 투자도 고려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Bench Mark :

  1. 수도권에서는 전세가 60% 넘는 지역에서 평당가가 높은 지역을 찾아 임장하기 시작할 것
  2. 지방 인구 50만명 이상/ 전세가 70% 넘는 지역에서 평당가가 높은 지역을 찾아 임장하기 시작할 것
  3. 덩어리 시간 확보하기 : 시간가계부를 써서 낭비하는 시간 확인하기
  4. 협상의 10계명 읽기
  5. 임장보고서 작성 시에는 지도에 얹어 한 눈에 직관적으로 볼 수 있게 만들기 (지방:연식기준, 수도권:가격기준)

댓글


미쉘P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