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 제가 보려고 정리 했는데, ‘혹시 한명이라도 도움 되지 않을까?’ 생각해 글 남깁니다. 🍀
🍀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오늘도 파이팅 입니다 : ) 🍀
[ … ] 안에 들어있는 말은 제가 덧붙인 말입니다.
📚 책 문구
‘경제와 시장이 평행을 이루며 동반 성장하지는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서로 간의 상호작용이 없다는 의미도 아니다.’
🐶 ‘사례 : 한 남자가 반려견을 데리고 산책을 한다. → 반려견은 주인 앞으로 달려나갔다가, 다시 주인에게로 돌아온다. → 산책 내내 이러한 행위를 반복하다가, 둘은 같은 목표 지점에 함께 도착한다. ‘
‘ 주인은 거리 1km를 걸어오는 동안, 반려견은 왔다갔다 하면서 4km를 걷게 된다.’
‘여기서 주인은 경제이고 개는 증권 시장이다.’
‘경제는 지속적으로 발전하지만, 한 두걸음 멈추기도 하고 때때로 뒷걸음질 치기도 한다.’
‘하지만 증권시장은 같은 시기에 100번도 넘게 위아래로 널뛰듯 변동한다.’
‘즉, 장기적인 시각에서 볼 때 경제와 주식은 같은 방향으로 나아간다.’
-----
🟢 새벽보기 님 생각
💭 강아지는 가격이기도 한데, 가격의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Q. 그러면 현재는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
-----
🟢 코크드림 님 생각
💭 ’예전의 저는 목줄을 개한테 건게 아니라, 내 목에 걸었었다고 생각한다’
-----
🟢 너나위 님 생각
💭 각 시장을 판단하는 합리적인 기준이라고 생각
여기서 얻을 수 있는 포인트.
ex ) 2021년, 22년 A 지역이 싸다고 생각했던 너나위님,
그렇게 생각했던 이유 : A 지역 가격이 2022년 기준, 아직 2017년에 머물러 있었기 때문에
🟡 주인이 앞으로 쭉 왔는데, 강아지는 뒤로 빠져있던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 A지역 가계 소득이 2017년보다 2022년까지 소득이 상승해왔다. [ 그런데도 2017년 가격 ]
A 지역은 투자 적기였다
이러한 기준으로 가치를 판단할 수 있다. → 이 정도 기준만 적용하셔도, 어떤 투자든 비이성적인 판단은 안 하실거라 생각한다.
댓글
Soowon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