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집마련기초반 강의 내용 질문입니다.
댓글
안녕하세요. 조아름님. 내집마련 기초반 공부 화이팅입니다 :) 1. 3~7의 한도 중에 나한테 유리한 것 한 가지만 계산했을 때는 다른 항목 중에 대출 제한되는 것들이 있으면 그것들이 물리고 물려서 계산하기가 힘들어집니다. 예를 들어 3번의 소득한도가 충분해서 대출을 많이 받는 걸로 하고 절대가 높은 집을 알아봤는데 5번의 지역별 대출한도에서 막혀버리면 그동안 알아봤던 것들이 헛수고가 되는 것이지요. 그렇기 때문에 3~7을 다 계산해서 가장 작은 한도를 내 대출 범위로 잡는 것입니다. 2. 주택담보대출은 사전적 정의로는 '집을 약속의 징표'로 내걸고 은행에서 받는 대출을 말합니다. 따라서 내가 보유하고 있는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받을 수도 있고, 내가 집이 없어도 매수할 주택을 담보로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1번에 나온 대출 한도에 주택담보대출 한도, 영어로는 LTV가 있는데요. 예를 들어 9억원의 아파트를 구매한다고 하고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40%고 이 한도가 나의 가장 작은 한도라면 9*4=3.6즉 아파트 가격 9억 중에 내가 대출 받을 수 있는 한도가 3.6억입니다. 그렇다면 9억원에서 3.6억을 제외한 5.4억의 현금만 내가 있으면 되고 3.6억에 대한 원금과 이자를 매월 납부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아름님 제가 강의의 내용은 구체적으로 알지 못하여 2번에 대해서만 말씀드릴게요, 주택담보대출은 말씀하신 것 처럼 내 명의의 집을 담보를 잡고 대출을 받는 것인데요, 이 때 내 명의집을 1.이미 가지고 있는 집 2.이제 가지게 될 집, 2가지의 경우를 모두 인정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무주택자의 경우 취득하게 될 주택을 담도로 대출을 받을 수 있고 오히려 무주택자의 주택담보대출은 각종 정부 정책에 따른 금리혜택이 많이 때문에 저금리로 대출을 받으실 수 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름님~ 2번의 경우, 주택담보대출은 '보유한 주택' or '구매할 주택' 둘 다 대출받을 수 있습니다. 다주택자라면 대출이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편이나, 무주택이시라면 디딤돌, 신생아특례대출 등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대출이 많으니 알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