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양파링님 강의에서는 매 강의마다 강의 후 생각해야 할 것들, 스스로 대답해야 할 것들을 강의 첫 머리에 주어서 정리하기에 좋았다.
서울 수도권 급지별 상승 여력도 다르고, 형세도 달랐다.
그래서 급지별로 아파트들을 묶어서 비교해봐야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
한 구를 선택하면, 해당 구만 보는게 아니라, 같은 급지 2곳 이상을 함께 비교평가해야,
이 곳이 싼지, 비싼지, 알 수 있으며 해당 구와 상급지, 하급지를 같이 비교해야, 지금 어디가 저평가 되어있는지 명확하게 판단이 된다는 것을 배웠다.
또한 수도권 내에서도 서울 1-5급지에 해당하는 수준의 지역들이 있으며, 해당 급지의 수준은 입지평가로 함께 볼 수 있다는 것도 알았다.
그리고 땅의 가치(지리적, 물리적 위치의 가치)와 입지의 가치(환경적 요인)가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 부분에 대해서 좀 면밀하게 이번 임장보고서를 쓰면서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땅의 가치가 좋은 곳은, 환경개선이 되면 그 지역의 가치가 전반적으로 크게 오를 것이기 때문에 현재 가장 노후되고 앞으로 개선 가능성이 가장 많은 지역들을 살펴보는 것도 투자적인 관점에서 중요한 활동이 될 것 같다.
그리고, 전반적인 그 지역에 대해서 전세가율이나 상승 여력만 보는게 아니라 더 자세히 줌 인해서 아파트 별로, 그리고 아파트를 볼 때는 결국 지역대 지역이 아니라 아파트대 아파트로 비교하면서 단 한 곳의 투자처, 내 투자금으로 가능한 최고의, 최선의 투자처를 찾아야 한다는 것을 다시금 머리에 새겼다.
그리고 내가 해야 할 투자방향을, 내 상황에 따라 정하고, 그걸 정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나의 목표부터 재 점검 해야한다는 것도 깨달았다. 강의 들으며, 생각을 정리할 수 있어서 좋았다.
지금까지 막연하게 50억 벌거야! 30억 벌거야! 생각했지만, 이번 강의를 들으며 현실적인 관점에서 다시 재점검 해볼 수 있었다.
'노력하면 연 3-4천 수준 저축 가능하지만, 결혼하고나면 5-8천까지도 가능할 수도?
그렇다면 지금은 소액투자를 해야하지만, 당장 묶인 돈이 있기 때문에 2년 안에 회수가 안된다면, 가치성장 투자를 하는 방향으로 목표를 세우고, 일단은 투자금으로 들은 신용대출을 갚는데 올인 해야한다. 그리고 1-2년 안에 털고 나오
는 데 성공한다면, 소액투자 방향으로 가닥을 다시 잡아야겠다.'
그리고 지금까지 막연한 고민이었던 것이, 만약 0호기들을 회수하고 투자금 2억이 있다면 이걸로 나눠서 소액투자를 하는게 좋을지, 아니면 가치성장 투자로 가는게 좋을지 판단을 못하겠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번 강의를 들으면서, 공부를 하다보면 어떤 투자가 나을지도 보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투자 방향 또한, 어떤 물건을 골라내느냐가 실력이자 결국 자산의 크기다. 라는 말씀을 해주셨는데,
양파링님도 처음에 시작할 땐, 소액투자로 시작하셨지만, 지금은 가치투자와 소액투자 전반을 강의하시고 계시기 때문에, 결국 투자의 영역은 점차 확장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이 부분은 지금 당장 고민할 필요 없고, 공부하면서 자연스럽게 내가 방향을 결정하고 투자하게 될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지방투자 수도권투자 서울투자? 돈만 적게 들어갈 수 있다면, 다 내 투자 대상이 되어야 한다."
Q. 1억으로 서울급 경기도 (광명 평촌 수지) 외 지역을 투자한다는게 어떤 의미일까?
: 돈을 더 많이 넣어서 투자한다는 것은 연식 외 그 지역에서 더 가치있는 것을 선택해야 한다는 의미.
1억으로 투자한다면 <서울+서울급경기도> 지역을 우선으로 살필 것.
이 돈이라면 더 좋은 지역을 투자할 수 없나??? 를 고민해야 한다. 싸게! 더 좋은 지역!을 할 수 있으면 된다.
*BM & 응용 반영할 것:
1. 선택한 지역 특징을 알아야 투자 후 어떤 행동을 해야하는지 시나리오를 그릴 수 있다. 내가 투자한 3개 지역에 대한 그래프, 각각 그려보고, 주변 아파트와 같은 급지로 생각한 아파트들도 그려볼 것.
2. 이번 임장지 + a ( 같은급지2개지역, 하급지1개지역) 함께 비교할 것
3. 시세체크할 때, 수지-평촌, 동탄-영통구 묶어서 볼 것
Q. 질문사항 :
1. 수지-평촌, 동탄-영통구 등 비교할 때 가격흐름이 계속 같이 가는 아파트라면 어딜 해야하나?
2. 가격 흐름 보지 않고도 아파트대 아파트로 놓고 비교할 수 있나?
2-1. 전세가율 최고 시점이 짧았던 아파트가 더 좋은 아파트일 확률이 높은데, 그런 과거 흐름을 비교하지 않고 알 수 있는 방법은? 또는 신규택지대 신규택지라면? 평택-위례-하남 등. 또는 재개발 지역이라면? 구성남-동작구-관악구 등
2-2. 흐름을 알 수 없는 아파트 (신규택지의 신축아파트)라면, 상승여력 또한 알 수 없는 건가?
댓글
김보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