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기 1강 - 현재 서울 부동산 시장 진단 by 양파링님>
- 과천=경기 1등 → 서울과 비교 시 '송파급'으로 보면 됨.
- 서울의 평균치=3급지 기준으로 볼 것
- 경기도권 가격을 볼 때는 '구'단위로 봐야 함.
<금액대별 서울투자 로드맵(1)_가치 성장 투자>
- 24~26년 강남 핵심지 입주 多 → 교류 많은 분당, 용인, 수원까지도 자산가격이 빠지는 기회가 될 수도...!
- 서울 저평가 시절 전세가 60% → 기준에 맞으면 진행할 것!
- 나는 '가치 성장 투자' 가 맞다고 생각
- 네이버 부동산으로는 '호가' / 아실로는 '실거래가' 비교하며 확인 필수
- 비교하는 아파트가 비슷한 매수 조건(매매/전세)일 때 어디 선택? → 급등장 최고가가 높은 곳
<금액대별 서울투자 로드맵(2)_소액 투자>
- 최종 정착지는 '가치 성장 투자'나 '소액 투자'나 결국 동일 → 서울 상급지 투자
- 같은 돈이라면 나눠서 여러개 하는 것이 좋음.(노력과 실력에 맞춰) 그러나 나는 신경 많이 안 쓰고 절대액을 키우고 싶은 상황
<서울 25개구 입지별 특징과 서울 투자 기준(1)>
- 서울이라고 무조건 정답은 아님 → 1) 강남에서의 절대적 거리, 2) 선호도...가 반영 되면 경기도 상급지가 더 좋을 수도 있음. EX) 구로 Lose vs 수지 Win
- 2급지 1등 : 성동, 2급지 꼴등 : 강동
<서울 25개구 입지별 특징과 서울 투자 기준(2)>
- 2급지 중 '강동'이 현재 제일 싸다.
- 4급지 중 '수지'가 현재 제일 싸다.(전세가율 또한 높음)
- ★ 서울에서 매매가 낮았던 시기 12~14년
- ★ 서울에서 전세가율 최고 시기 16~17년
<서울 아파트 투자 사례>
- 임대사업자 추후 '아파트' 진행 가능할 시 꼭 관심 필요
- 다주택 or 서울(수도권) 투자 시 필수 → 종부세 합산 배제 혜택 but 전세금 상승 최대 5%로 제한(그럼에도 역전세 방어에 용이)
★ 앞서 수강했던 월부의 다양한 수업에서 배운 내용이 결국 하나씩 베이스가 되어 서울 투자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고, 과거 사례를 통해 실제 어떤 식으로 자산을 키우고 지킬 수 있는지 배울 수 있는 값진 시간이었다고 본다. 2~4주차 강의를 더 들어 봐야겠지만, 특례보금자리 대출이 가능한 시점이라 양파링님께서 세워주신 기준에 맞춰 투자를 들어가는 것에 대한 고민이 들기도 한다.(합리적인 투자는 아니라고 생각하기에 고민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