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1주차 강의후기

  • 23.09.10

안녕하세요.


실준반을 처음시작으로 한달 강의를 쉬며 서기반이 시작되기를 많이 기다렸습니다. ^^


강의 시작은 현재 서울시장 진단이었습니다. 저는 올해 4월 파크리오와 고덕그라시움으로 갈아타기를 해볼까 고민하다가 결정을 못내리고 시간이 흘렀습니다. 지금 가격을 보니 그때보다 1~2억 오른것을 보고 마음이 조급해 지고 있었습니다. 그런 저의 마음을 읽으신듯 조급해 할 것 없다. 투자기회는 곳곳에 있어 라고 말해주시는 듯 싶었습니다.^^


실준반에서 가치성장투자 하는 것으로 결정하였지만, 계획을 어떻게 세워야 할지 막막했는데 투자공부시간, 임장/임보, 실전투자의 로드맵을 그려주셔 좋았습니다.


하남시가 저의 첫 임장지였습니다.서울과 가까운 경기도권이니 교통이 우선일거야라고 생각하면서 시세를 봤습니다. 그런데 저의 생각과는 다르게 미사역과는 거리가 있지만 자이가 가장 가격이높았고, 원도심에서는 스타필드와 가깝고 연식이 얼마안됐다는 이유로 에일린의 뜰이 가장 비쌌습니다. 도대체 뭐를 우선으로 봐야할지 혼란스러웠습니다.

그런데 25개구 각각의 입지별 특장점과 우선으로 봐야할 부분을 정리해 주셔서 이 부분도 명확해 졌습니다.


알려주신 기준들을 토대로 매월 서울 앞마당을 늘려가며 기회가 왔을때 잘 잡는 투자자가 되고 싶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적용할점

  • 서울 아파트 가격 수준 익히기 : 구별로 평균에 해당하는 단지 대입하여 외우면 좋음
  • 서울 급지별 투자금액 익히기
  • 서울 각 구별 입지 특장점 익히기
  • 서울 전세가율, PIR 트랙킹


# 궁금한 점

  • 너나위님의 서울 절대적 저평가 판단 기준 중 전세가율을 65%라고 하셨는데, 양파링님은 60% 로 설정하였습니다. 단순히 강사님들의 견해 차이일까요..
  • 답십리동 동답한신의 투자하기 좋은가? 라는 물음에서 전세가율이 70%. 서울 평균 전세가율 60%이상이니 전세가율 기준을 충족한다고 하셨는데, 각 구마다 특성이 있으니 동대문구 평균과 비교해야하는것 아닐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아니면 예시 들어준 시점에서 서울평균이 60% 이상이었다는 얘기일까요?



댓글


오행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