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남김밥입니다.
이번 달 임장지역의 첫 분임을 위해 이동 중인 KTX안에서 작성해보는 후기네요 :D
2강은 마침! 저희 조 임장지역 내용이 나와서 너무 반가웠고
게리롱님과 함께 지역을 미리 훝어보다 보니
'아, 여기는 진짜 당장 투자할 곳을 찾을 수도 있겠는데?' 라는 기대감이...!
(같은 지역 임장 중이신 분들 대부분 같은 마음이시죠? ㅎㅎ)
사실 처음에 조모임 지역을 배정 받았을 때 1지망 지역이 아니었기에
살~짝 아쉬운 마음도 있었지만...ㅋ 2강을 듣고나니 여길 선택하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게리롱님이 말씀해주신 것처럼
주변 지역의 수요를 흡수하는 곳, 매매&전세가 폭발적인 수준은 아니지만 안정적으로 오르는 곳,
그리고 지금 바로 투자하기에도 괜찮은 상황이기 때문이죠!
물론 그렇다고해서 너무 들뜬(?) 마음으로 서두르지 말고
이 지역을 제.대.로 파악해서 기회를 볼 수 있는 실력을 먼저 키워야겠죠? :)
잘 모르는 지역을 분석할때는 생활권을 나눠보는 것부터 많은 혼돈이 오기 마련인데 ㅋ
게리롱님이 딱! 선 3개로 지역을 깔끔하게 나눠서 기억하기 쉽게 설명해주신 덕분에
이번에는 조금 더 수월하게 앞마당을 만들 수 있을 것 같아요!
입지분석, 무조건 자료를 때려넣지(?) 말고 투자 관점에서 정리하기
저는 아직 초보라서@_@ 임장보고서에서 입지 분석을 할때마다
자료를 어디까지 넣어야할지, 이 자료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이고
이걸 내가 어떻게 투자와 연결할 수 있을지.. 이런 부분이 어려웠거든요
하지만 이번에 게리롱님의 입지 분석 파트를 들으며 조금은 감이 잡힌 것 같습니다!
저의 임보를 다시 펼쳐보며 잘 적용해 볼게요!!
이 지역에서 어떤 걸 중요하게 봐야할까?
아직 제대로 된 앞마당은 거의 없지만...ㅋㅋ
서울/수도권, 광역시, 중소도시 그리고 중소도시 안에서도 지역에 따라
단지의 선호도를 결정하는 입지요소는 확연하게 차이나는 것 같더라구요~
그렇기 때문에 각 지역들의 개별성을 정확히 알고 선호도를 파악하는 게 우선일 것 같습니다.
지역 사람들의 선호도를 파악하고 투자의 우선 순위를 세워보는 것,
그 이후에는 게리롱님이 알려주신 지방 투자의 범위와 가이드라인, 의사결정 기준을 계속해서 검토해보며
내 상황에 맞춰서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해보겠습니다!
3천만원으로 투자할 수 있는 곳? 정말 수익을 낼 수 있을까? 확신이 없는 이유는 바로...
자신있게 앞마당이라고 말할 수 있는 지역이 거의 없기 때문..!!
월부에서 7개월 이상 강의를 꾸준히 듣고 있지만
그 기간 동안 정말 제가 몰입한 시간은 얼마나 되었는지 생각해보니
스스로가 부끄러워지더라구요... *_*
하지만! 지나간 시간을 아쉬워하지 않고
이번 달 부터 시작했다는 마음으로! 올해는 스스로가 대견하게 여겨질 정도로 몰입해보자고 다짐해봅니다!
빨리 1호기 투자하고 빨리 돈을 많이 벌고 싶다는 생각보다는
아는 지역을 많이 늘려서 투자를 잘 하는 사람, 그래서 주변에도 나눔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되어보겠습니다.
언제든지 투자할 수 있는 사람이 될 수 있도록! :D
이번 달도, 올해도, 앞으로도 화이팅!!
BM
1. 임보 입지분석 파트 다시보고 '투자' 관점에서 인사이트 정리하기
2. 2024년 앞마당 후보 정리하고 조금 늦더라도 지역 하나씩 완벽하게 파악하기
댓글
남김밥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