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 느낀점
1. 4년차 투자자인 게리롱님이 지금까지 해내온 것들이 놀라웠고, 그렇게 열심히 해야 성공할 수 있다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2. 저도 월간 게리롱과 같이 '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을 만들어서 끝까지 살아남는 투자자가 되고 싶습니다.
3. 꿈을 이루는 과정에서 행복을 느끼려고 노력하겠습니다.
▶ 적용점
1. 지역개요: 위치, 인구, 경제력(GRDP) 확인
2. 생활권 나누기: 도시 발전 순서에 따라 이해(도시 확장)
3. 입지분석: 인구/직장/학군/환경/공급/교통
인구) 젊은 인구(인구연령비), 4인 가족(세대당 인구수) *거주 선호도 높은 생활권은?
직장) 질 좋은 일자리(산업, 위치), 인근 지역 수요 끌어당기는지 *소득 높은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생활권은?
학군) 학군(학업성취도, 특목고), 인근 지역에서 올만큼인지(학생수, 학원가) *학군 수요 흡수하는 생활권은?
환경) 대표 상권(병원, 백화점), 신축 대단지 쾌적한 생활권 *사람들이 살고 싶어할만한 환경은 어디?
공급) 지역 내&인근 공급, 언제 어느 위치에 몇세대 *역전세 위험 있는지, 향후 1등 바뀔 가능성 있는지?
교통) 주요 일자리 접근성, 호재(실현 가능성, 가치여부) *주거지 선택 시 직주근접 중요할까? 입지 개선 여지?
4. 내 상황에 맞춰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투자하기
5. 저평가와 저가치 구분하기
저가치) 구축(20년차 이상), 입지 bad, 전세가 장기간 오르지 않음 (+임장하며 확인)
저평가) 가치 있는지(연식+입지), 전세가 우상향, 근데 가격이 쌈
(구축도 아니고, 입지도 괜찮은데 이상하게 가격이 싸다면 이유 확인)
6. 입지/연식/평형에 따른 의사결정 기준 지키기
구축 투자 시)입지 좋은 곳 & 싸게, 적은 투자금으로 & 입주물량 적어야(광역시, 중소도시 기준 다름)
20평대 아파트)30평대 우선 검토 & 1등 입지 준신축 이상 or 상품성 우수한 최신축
7. 앞마당을 꾸준히 만들고, 기회 놓치지 않는 사람되기
댓글
영이영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