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원씽 독서후기[열반스쿨 중급반 35기 90조 주주마마]

  • 24.02.19


열반스쿨 중급반 독서 후기 작성 과제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원씽

2. 저자 및 출판사: 게리 켈러, 제이 파파산 / 비즈니스 북스

3. 읽은 날짜: 2024.02.05~2024.02.06

4. 총점 (10점 만점): 10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Chapter1.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단 하나’는 무엇인가]

#집중 #중요한 일 #핵심 #더하기가 아닌 빼기

내가 큰 성공을 거뒀을 때에는 단 하나의 일에만 모든 정신을 집중했다. 그러나 성공이 들쭉날쭉했을 때는 나의 집중력도 여러 군대에 퍼져 있었던 것이다. 원하는 일이 어떤 것이든 최고의 성공을 원한다면 접근방법은 늘 같은 방식이어야 한다. 핵심 속으로 파고들어야 한다. 탁월한 성과는 당신의 초점을 얼마나 좁힐 수 있느냐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더 큰 효과를 얻고 싶다면 일의 가짓수를 줄여야 한다. 


[Chapter2. 도미노 효과]

#오랜 시간 #한 번에 하나씩

제대로 된 하나가 움직이기 시작하면 많은 것들을 쓰러뜨릴 수 있다. 

도미노 하나가 줄지어 선 다른 도미노를 쓰러뜨릴 뿐만 아니라 훨씬 더 큰 것도 쓰러뜨릴 수 있다. 매일 우선 순위를 정하고 첫 번째 조각을 찾은 다음, 그것이 넘어질 때까지 있는 힘껏 내리친다. 훌륭한 성공은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이다. 핵심은 오랜 시간이다. 성공은 연속하여 쌓인다. 단, 한 번에 하나씩이다.


[Chapter3. 성공은 반드시 단서를 남긴다.]

#단 하나를 향한 강렬한 열정 #단 하나의 특별한 기술

사람에게는 누구나 자신에게 최초로 영향을 끼치고, 자신을 훈련시키고 혹은 관리해 준, 가장 중요한 단 한 사람이 있기 마련이다. 누구도 홀로 성공할 수 없다. 성공을 거둔 사람들은 단 하나를 향한 강렬한 열정 또는 단 하나의 특별한 기술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바로 그 것이 그들을 더 큰 성공으로 이끌었다. 성공의 핵심에는 ‘단 하나’가 자리 잡고 있다. 바로 그 단 하나가 탁월한 성과를 이끌어 내는 시작점이다. 


[Chapter4. 모든 일이 다 중요하다]

#성공 목록 

성공하는 사람들은 다른 이들이 나중에 하려고 하는 일을 먼저 하고, 다른 이들이 먼저 하려는 일은 뒤로, 때로는 무기한으로 미룬다. 성공하는 사람들은 언제나 뚜렷한 우선순위를 가지고 일한다. 우리는 할일 목록 대신 성공 목록을 만들어야 한다. 남다른 성과를 내기 위해 의도적으로 만든 목록말이다. 성공 목록은 짧다. 성공 목록은 구체적인 한 방향으로 이끌어 준다. 성공 목록은 잘 정돈된 지시사항이다. 원하는 만큼 긴 목록에서 시작하되 거기에서 중요한 몇 가지를 추려낸다는 마음가짐을 가지고, 반드시 필요한 단 하나를 찾아낼 때까지 멈추지 마라. 없어서는 안 될 단 하나, 바로 그 하나를 찾아라. 언제나 수많은 나머지보다 중요한 소수의 것이 있을 것이고, 그 소수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단 하나가 있을 것이다. 가장 중요한 일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 되어야 한다. 


[Chapter5. 멀티태스킹은 곧 능력이다]

#저글링 #작업 전환 #스포트라이트

멀티태스킹이란 허상이다. 한 번에 두 가지 일을 하려고 하면 그중 하나도 잘 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잠재적인 비극들은 모두 사람이 한 번에 너무 많은 일을 하려고 애쓰다가 반드시 해야 할 일, 반드시 기억해야 할 것을 잊어버리는 데서 발생한다. 해야 할 모든 일을 하기에 시간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주어진 시간 내에 너무 많은 일을 해야만 한다고 느끼는 것이 문제다. 저글링은 멀티태스킹이 아니다. 잡고, 던지고, 잡고, 던지고 한 번에 공 하나씩이다. 전문가는 이것을 ‘작업전환’이라 부른다. 어떤 일에 집중하면 그것은 중요한 일에 스포트라이트를 비추는 것과 같다. 


[Chapter6. 성공은 철저한 자기관리에서 온다]

#건전한 습관 #선택적 집중 #66일

성공은 단거리 경주다. 건전한 습관이 자리를 잡을 때까지만 자신을 훈련시켜 달리는 단거리 전력질주인 셈이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그 일을 지속시키는 ‘습관’이다. 그리고 그런 습관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양만큼의 자기 규율만 있으면 된다. 생각보다 훨씬 적은 자기통제력만으로도 성공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단 하나다. 성공은 옳은 일을 해야 얻는 것이지, 모든 일을 다 제대로 해야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강력한 습관을 얻기 위해 선택적인 집중을 실천한 사람, 당신은 바로 그런 사람이 될 것이다. 힘든 일이 습관이 되면 습관은 그 힘든 일을 쉽게 만든다. 새로운 습관을 들이는 데는 평균 66일이 걸린다. 당신의 습관이 당신이 누구인지 말해 준다. 당신이 얻는 성취는 한 번의 행동이 아닌 삶에서 만들어진 습관에서 나온다. 


[Chapter7. 의지만 있다면 못할 일은 없다]

#의지력 #타이밍 #포기력

일찍 일어나는 새가 벌레는 잡는다 거나 볕이 좋을 때 건초를 말려라 같은 말처럼 의지력에서 중요한 것은 타이밍이다. 의지력을 자기 것으로 만들어 잘 활용하는 관건은 그것을 이용하는 타이밍이다. 머리를 많이 쓸수록 정신력이 떨어진다. 의지력이 가장 높을 때 가장 중요한 일을 우선으로 처리해야 한다. 


[Chapter8. 일과 삶에 균형이 필요하다]

#중심 잡기 #버리고, 선택하고, 집중하라

모든 일에 관심을 쏟으려 하다 보면 그 모든 일에 대한 노력이 부족해지고, 제대로 완수되는 일이 하나도 없게 된다. 탁월한 성과는 바로 시간과의 타협을 통해 이루어진다. 탁월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무엇이 가장 중요한지 선택한 다음 그것을 성취하는 데 필요한 모든 시간을 들여야 한다. 중요한 것은 중심을 잡느냐 않느냐가 아니라 짧게 가느냐 길게 가느냐 이다. 균형의 문제는 사실 우선순위에 대한 문제다. 우선순위에 따라 행동하면 자동적으로 균형에서 벗어나 어느 하나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게 된다. 훌륭한 삶이란 곧 다른 여러 부분의 무게를 맞추는 삶이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1. 나는 늘 할일 목록을 세우고 그 것을 이루지 못했을 때 좌절감을 느끼는 하루를 많이 보낸 것 같다. 앞으론 성공 목록을 작성을 통해 가장 중요한 일을 할 수 있는 하루를 만들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2. 새벽에 일어나는 것이 제일 힘들었다. 그래서 나는 늘 반대로 늦게 자며 가장 마지막에 투자공부를 해왔다. 그러다 보니 피로가 누적이 된 날엔 밤공부도 제대로 실천하지 못했다. 내 의지력에만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는데 의지력에는 타이밍이 중요하다는 말이 너무 와닿았다. 의지력이 바닥이 나기 전 가장 중요한 일을 가장 먼저하는 습관을 만들어봐야겠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 원씽 정하고 하루 시작

2. 아침 1시간 투자 공부하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78) 힘든 일이 습관이 되면 습관은 그 힘든 일을 쉽게 만든다. 


댓글


주주마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