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결국 해내는 사람들의 원칙
저자 및 출판사 : 앨런피즈, 바바라 피즈 지음 / 이재경 옮김
읽은 날짜 : 2024, 02,19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내가 내 꿈에 겁먹지 않는 한, 지나치게 큰 꿈이란 없다. # 평균 성공 비율이 존재한다. # 우물 벽을 허물어라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9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 인생의 모든 것은 내가 어떤 생각을 품는가에 달렸다
‘생각의 힘’에 대한 강조는 이미 여러 책을 통해 접해 온 주장이다. 그러나 성공한 몇몇 이들의 주장과 생각은 그들의 것이지 우리의 것이 아니다. 비루한 현실 속에서 우리는 ‘생각하는 대로 이루어진다’라는 말이 주는 용기 이면에 있는 ‘간절히 원하면 우주의 기운이 나서 도와준다’는 식의 무조건적 신념에 코웃음 칠지 모른다. 인생이 정말 내가 생각하는 대로, 원하는 대로 될 수 있다면 지금의 이 현실은 무엇이란 말인가! 수많은 실패자들은 마음에 실패를 품어서 실패했단 말인가? 생각의 힘을 강조하는 주장과 더불어 늘 재기되는 이런 의문들은 냉소로 귀결된다.
그런데 이 책의 저자 앨런 피즈와 바바라 피즈는 이런 우리의 생각을 읽었다! 그래서 가장 먼저 “우리 뇌가 가동하는 기막힌 소원성취 시스템”으로서의 망상활성계에 대해 설명한다. 성공철학의 대부라 할 수 있는 나폴레온 힐이 우리의 “마음이 무엇을 품고 무엇을 믿든 몸이 그것을 현실로 이룬다”라는 말을 했을 때, 그 믿음을 증명해 줄 의학기술이 없었다. 그러나 이제 현대 의학은 뇌 스캔 장치로 힐이 말한 것의 진위를 과학적으로 따져볼 수 있게 해 준다. 성취, 목표 설정, 자기 충족적 예언, 기도의 힘, 끌어당김의 법칙 같은 정신작용이 과학의 영역으로 들어왔다. 우리 뇌는 자아와 인격 형성뿐 아니라 인생의 성공과 실패에도 깊이 관여한다. 그러므로 현재 어떤 상태에 있든 나의 미래만은 내 뜻대로, 내 힘을 통해 성공적으로 꾸리고 싶다면 ‘과학적’ 견지에서 우리 뇌의 작동 방식을 알아보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자신이 누구인지, 어떻게 목표에 도달하는지,
어떻게 그 놀라운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를 분명하게 배울 수 있다.”
_브라이언 트레이시, 《나는 꽤 괜찮은 사람입니다 The Power of Self-Confidence》 저자
2. 내용 및 줄거리
:20pRAS는 내가 전쟁 옹호론자인지 평화주의자인지에는 관심이 없다. 내 마음을 지배하는 생각이나 믿음에 부합하는 패턴들만 쏙쏙 뽑아 갖다 바칠 뿐이다.
싫어하는 것을 줄기차게 생각하는 것은 RAS에게 내가 싫어하는 것만 중점적으로 불러 대라는 명령을 내리는 것과 같다.
40p백만장자들도 목표를 향한 열의가 대단했고 본인이 원하는 바를 정확히 알고 있었지만, 손으로 쓴 계획서를 보유한 경우가 억만장자들 에 비해 현저히 적었다.
• 60퍼센트가 목표 설정을 고려하지만 금전적인 부분에 머무른다.
• 27퍼센트는 목표 설정이나 미래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거의 없다.
• 60퍼센트는 이른바 서민'이다
할 일은 분명하다. 목표 목록을 만든다. 직접 손으로 써서.
42p"보수 없이도 하고 싶을 만큼 좋고, 동시에 보수를 받고 할 만큼 잘할 자신이 있는 것을 한 가지 꼽는다면?"
53p인생이 흘러가는 양상이 만족스럽지 않다면, 그것은 인생의 목표 들이 충분히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아서 RAS가 어디에서 무엇을 찾 을지 갈피를 못 잡고 있기 때문이다.
뭔가를 하지 않겠다고 말하는 것은 RAS에게 시각화할 수 없는 것을 상상하라고 명령하는 것과 같다.보자. 1월 1일까지 나는 비흡연자가 된다' 그리면 RAS가 비흡연자의 이미지를 형성한다.
54p목표는 긍정형으로 만들어야 한다.
56p내 꿈을 상상할 수 없다면, 아직은 그 꿈을 이룰 준비가 되어 있지 않 은 셈이다. 우리 뇌는 물리적 또는 정신적으로 달성 가능한 것들만 심 상으로 만든다.
57p상상조차 되지 않는 것을 꿈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이 말은 엄청난 기회를 의 미한다. 무언가를 열심히 생각 하면 몸이 그것을 달성한다는 뜻이니까!
67p자신의 꿈을 존중하며 살았는지 여부는 인생의 성공을 논하는 데 매 우 중요한 판단지표가 된다. 명확하게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자신의 꿈을 존중하자. 건강을 잃는 순간 모두 늦은 일이 되고 만다. 사람들 은 건강을 잃고 난 다음에야 건강이 주는 자유를 절감한다.
68p목표 달성의 길은 수많은 우여곡절과 반전과 함정, 예기치 못한 만남과 기회로 점철된 장거리 여정이다.
경험해 보기 전에는 어떤 목표가 어떤 경험을 안겨 줄지 안수원 다. 그래서 목표 목록은 길수록 좋다. 절실한 목표든 흥밋거리에 볼 과한 목표든, 목표는 많은 게 좋다
67p목록에 예정된 목표가 10개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자.그중 하나가 내게 맞지 않는 것으로 드러나도 남은 아 홉 개를 바라보며 긍정적인 인생행로를 유지할 수 있다.
76p심리적으로 감당 가능한 작은 단계로 목표를 쪼개는 것이 요령이 고 관건이다. 그래야 최종 목표의 덩치에 주눅 들지 않고 계획한 일 에 자신 있게 집중할 수 있다.
77p사람들은 항상‘내일’을 시작일로 잡는다. 내일은 영원히 오늘이 되지 않는다. 계단이 전체가 보여야 하는 건 아니다. 일단 첫 번째 칸을 어르자.
84p부정적인 생각도 습관이 된다. 부정적 사고가 편해지면 거기 안주하게 된 다.
부정적인 생각도 길어지면 습관이 되 고 인격이 된다.
89p상황을 바꾸거 나 진전시키는 모든 선택에는 항상 얼마간의 위험이 따른다. 정보를 모으고 충분히 숙고해서 결정을 내리되, 남들의 말에 꿈을 포기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내가 내 꿈에 겁먹지 않는 한, 지나치게 큰 꿈이란 없다.
92p승자는 결코 실패하지 않는 사 람이 아니다. 승자는 결코 그만두지 않는 사람이다. 너무 빨리 포기해 버리면 자신이 무엇을 놓쳤는지 영원히 모르고 끝난다.
104p우리에겐 스스로 새로운 환경을 선택할 힘이 있습니다. 스스로 환경과 처지의 피해자가 되지 마십시오. 누 구에게나 자신의 인생을 선택할 능력이 있습니다.
117p사람들이 보이는 미묘한 단서들을 놓치지 말자.나쁜 징후를 보이는 사람을 섣불리 내 인생에 들여놓지 말자.
121p누구의 탓도 하지 마라. 좋은 사람들은 행복을 주고 나쁜 사람들은 경험을 준다.
최악의 사람들은 교훈을 주고 최고의 사람들은 추억을 준다.
150p확언을 통해 마음에 계속 긍정적인 생각을 넣으면 부정 적인 생각이 마음 밖으로 밀려난다. 방법은 간단하다. 긍정적 확언을 반복함으로써 마음에 긍정적인 생각을 붓는 것이다. 마음에 원래 담 겨 있던 부정적인 생각과 의심과 공포와 망설임이 모두 밀려날 때가 지 계속.
160p인간 행동의 80퍼센트 이상이 습관에서 나온다. 다시 말해 우리 생 활의 대부분은 우리가 별 생각 없이 무심히 반복하는 행동들로 채워 진다.
162p신체 성장기와 인격 형성기를 거치면 서 우리는 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응원보다는 할 수 없는 것에 대한 경 고를 반복적으로 주입받는다. 코끼리가 탈출을 불가능하다고 믿듯이 우리도 아주 쉽게 '나는 못해'라는 믿음의 노예가 된다. 부정적이고 반복적인 길들이기는 우리의 잠재력을 누르고 성공을 방해한다.
163p사람들은 긍정적인 습보다는 부정적인 습을 더 많이 달고 산다.
170p나와 가장 많이 어울려 다니는 5명을 꼽아 보라. 좋든 싫든 나는 그들과 동급이거나 평균 수준이다. 내가 친구 무리에서 가장 성공한 사람일 때, 무리는 내게 점진적이고 꾸준하고 소리 없는 압력을 행사해 소득과 업적과 삶의 태도 등에서 나를 무리 의 평균 수준으로 끌어내린다.
179p우리가 행하는 모든 활동에도 포커머신처럼 평균 성공비율이 존재한다. 성공을 위해 우리가 알아내야 할 것이 바 로 이 성공비율이다.
184p특정 노력과 활동(20퍼센트)이 행복과 성과의 대부분(30퍼센트)을 좌우 한다. 일주일 동안 자신이 하는 모든 활동과 거기 쓰는 시간을 분석 해 보라. 내 인생에 별다른 기여를 하지 않는 일들이 내 시간의 80퍼 센트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또는 투자한 시간의 20퍼센트만 이 가치 있는 결과를 내고 있음을 알게 된다.
185p80/20 법칙은 생활 곳곳에서 나타난다. 성과의 80퍼센트가 노력의 20퍼센트에서 나오거나(80/20), 반대로 성과의 20퍼센트가 노력의 80퍼센트에서 나온다(2080). 사람들 대다수는 후자의 경우에 속한다
201p감정은 근본 적으로 건강의 모든 측면과 연결되어 있다. 몸과 마음은 따로 놀지 않는다. 웃음은 장운동을 일으키고, 뇌로 가는 산소량을 늘리고, 엔도 르핀을 분비하고, 면역체계를 튼튼하게 하고, 기분을 밝게 하고, 인생 을 펼쳐 준다.
204p21세기형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가장 강력하고 비용 효 율적이고 자연 친화적인 방법으로 웃음과 유머가 재조명되고 있다.
웃는 습관과 유머감각을 잃으면 질병과 조기 노화와 조기 사망의 가 능성이 극적으로 높아진다.
21세기의 삶이 가하는 스 트레스는 수렵채집 시대와 전적으로 다르고, 우리 몸은 거기에 대한 대처 능력을 갖추지 못했다.
214p 내가 직장과 이웃과 사회집단을 떠날 때 모두가 나를 얼마나 그리 워하고 아쉬워할지 궁금한가? 양동이에 물을 가득 채우고 물속에 팔 꿈치까지 담갔다가 잽싸게 빼 보라. 그리고 양동이 안을 보자. 거기 남은 구멍이 내가 떠났을 때 남는 구멍이다
217p죄책감, 민망함, 수치심, 발끈함은 후천적으로 습득된 감정이며 성공적인 인생에서 방해 요소로 작용한다.
죄책감, 민망함, 수치심, 발끈함은 본능적 감정이 아닌 선택할 수 있는 감정들이다. 이런 감정들을 선택하지 말자.
223p인생은 좋든 싫든 우리 위로 온갖 종류의 흙을 퍼붓는다. 원래 그 런 것이다. 수렁에서 빠져나오는 요령은 흙을 털어 버리고 그것을 발판 삼 아 조금씩 올라오는 것이다. 시련을 위기 탈출의 디딤돌로 만드는 것이다.
포기만 하지 않으면 아무리 깊은 수렁에서도 벗어날 수 있다. 흙을 털어 버 리고 한 발씩 올라가자.
224p자아실현과 행복과 내적 평안을 얻는 데 가장 큰 장애물을 두 가지 으라면 두려움과 걱정이다.
239p두려움에는 두 가지 뜻이 있다.
모든 것을 잊고 내빼기. 모든 것에 맞서 싸우기.
선택은 각자의 몫이다.
246물은 바위를 뚫는다. 힘이 아니라 고집으로.
277p통계적 으로 볼 때 대부분의 '바로 다음 일'은 성과를 내지 않는다. 칫술에 배 부른 사람은 없다. 새로운 목표를 향해 출발할 때도 80/20 법칙이 성 립한다. 초반 80퍼센트는 성과가 미미하다는 뜻이다.
279p우리가 여기에 쓴 내용은 우리가 시도한 것의 20퍼센트에 불 과하다. 우리 시도의 80퍼센트는 아무런 성과도 내지 못했다. 우리는 목표를 명확히 정의했고, 데드라인을 갖춘 계획을 짰고, 중도에 포기하지 않고 확률게임에 임했다.
289p내가 가고자 하는 길을 가 본 적이 없는 사람은 내 앞길에 훈수를 둘 자격이 없다.
그런 사람은 본인의 태도와 한계를 내게도 똑같이 적용할 뿐이다.
**292p내가 목표를 이룰 것으로 믿지 않는 '조언자'는 버리고 새로운 조언자를 구하라. 내 목표이지 그들의 목표가 아니다.그들은 다만 의견을 가진 조언자일 뿐이다.
**304p 인생의 성공, 원하는 것을 얻는 것, 되고 싶은 사람이 되는 것, 그것은 재능의 문제라기보다 계획과 실행의 문제다.
** 312p 인생 최고의 날은 내 인생은 내 것이라고 결심하는 날이다. 이날부터 핑계도 원망도 끊는다. 의존 심리도 책임전가 습관도 버린다. 이날이 진짜로 내 인생이 시작되는 날이다.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부정적인 생각이 들면 긍정적으로 바꾼다.
포기하지 않으면 이룰 것이라 확신한다.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집중한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남들과 달리 나만 꿈을 상상하고 미래를 그려보는게 잘 안되는 것 같았다. 책에서 아직은 그 꿈을 이룰 준비가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상상할 수 없는 거라는 말에 "아! 내가 준비다 덜 됐구나" 이 말은 엄청난 기회를 의미하며 무언가를 열심히 생각하면 몸이 그것을 당성한다는 뜻이라는 말에 굉장히 긍정적인 즐거움을 느꼈다.
책을 읽는 동안 점점 구체적인 꿈을 상상할 수 있었다.
누군가는 반드시 성공한다.
5.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P 000 (전자책인 경우 전자책이라고 작성 부탁드립니다😊)
: p241 실패 경험에서 얻는 부정적 피드백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오히려 반겨야 한다. 성공으로 가는 길을 지시하기 때문이다. 역사는 자신의 비전을 포기하지 않고 부정적 피드백을 진전의 발판으로 삼은 위인들의 사례로 가득하다.
모레를 털어내고 그 모레를 발판으로 삼아 김은 수렁에서 벗어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는데 거기서 오는 두려움과 걱정도 여러번의 도전과 실패로 생긴 경험들이 모여 극복 되겠죠?
6. 연관 지어 읽어 볼 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멘탈의 연금술, 시크릿
7. 조편성 구글폼 제출하기
https://forms.gle/QZzdZCq8WeaZD5q86
댓글
신붕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