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이 도시에 사람들이 살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어느 아파트에 왜 살고 싶어할까?"
늘 염두에 두어야 하는 부분들을 다시 한번 되짚어 볼 수 있는 정말 유익한 시간 이였습니다.
두 지역을 넘나들어 다소 산만한 느낌도 없지 않아 있었지만 한편으로 제대로 비교가 되는 시간이기도 했습니다.
가장 좋았던 부분은,
리스크와 기대수익의 예시를 쉽게 풀어서 설명해 주셔서 이해에 큰 도움이 되었고
케이스 별 투자 적용 및 선택 옵션에 대한 부분을 정말 디테일하게 알려주셔서 추후 적용해서 연습해봐야겠다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무엇보다 빨리 가보고 싶다는 생각이 굴뚝같이 !! :)
다시 한번 정성스러운 강의 내용에 무한한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1.
학교 경우 학급 당 학생 수와 고학년 비율 만을 보았는데 전교 학생 수 또한 확인이 필요하다.
=> 외부 사이트 상의 데이터 오류 가능, 지역 내 선호 학교와 초교 자녀 가정의 양 유추 가능
2.
중소 도시 경우 백화점 병원 마트와의 거리보다 신축 택지 느낌 및 안전함이 더 중요하다.
=> 이동 거리가 멀지 않아 편의 시설이 바로 옆에 없어도 됨
3.
D지역의 구축을 보고 지역마다 다른 특성을 확실히 파악하는 것은 정말 중요하다고 느꼈다.
=>비교 평가를 잘 하려면 어느 생활권에 어느 단지가 좋은지 알고 있어야 한다.
4.
상/중/하 모든 지역 임장 필요하다. 좋은 곳만 간다면 하락,역전세 등의 문제 시 물건의 가치를 의심하게 된다.
=>지역 전체에 대한 이해를 한 후 어느 정도의 가치를 가지는지 확신을 가져야 문제 발생 시 지키고 기다릴 수 있다.
5.공급과다=위기=기회
=>가장 우선순위는 가격이 싼 것에서 시작이다.
6.
연식 대비 더 좋게 지어진 단지들도 있고, 가격까지 더 높을 수 있다. 같은 신축이더라도 약간의 다른 요소들로 선호도가 갈릴 수 있으니 반드시 임장으로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
=>단지 첫 느낌 웅장함 별도의 색다른 느낌
@ 매매 거래량, 미분양 수 등으로 현재 분위기를 체크만 하고 예측은 금물 >>>> 오류 가능성 줄이기
@ 리스크 대비 기대수익에 대해 나의 상황에 맞게 시뮬레이션 돌려보기 >>>> 투자실력 레벨업
@ 시세트래킹을 하며 꾸준히 매매가와 전세가의 흐름을 지켜보기 >>>> 투자기회포착
댓글
부와동산님 두 지역을 함께 이해하시느라 좀 어려우셨죠? 넘 고생 많으셨습니다. 앞으로 투자해나가는데 도움이 되는 강의가 되었길 바래요 응원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