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나위님 실소유 투자"의 기준은..?

내집마련 중급반을 듣고 있는데요.


소유와 거주 분리를 통한 투자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현재 전세금 2.5억 + 현금 0.5억원 총 3억을 가지고 있는 상태입니다.


여기서 궁금한 것이 두 가지입니다.

첫째로. "총 3억원 중, 어느정도의 금액을 소유와 거주 분리 투자에 투자해야하는가" 입니다.

총 3억원 중, 제가 거주하는 비용(예를들어 월세 보증금 1억)을 제외하면 나머지 2억은 모두 투자금으로 사용해도 되는 것일까요? 아니면 일부 여유자금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좋은가요? 여유자금은 어느정도로 설정하면 될까요?



둘째로. 2억을 투자금으로 활용한다고 했을 때. 어느 정도 되는 매매가의 아파트를 구매하는 것이 건강한 투자일까요?

예를들어. "6억매매가, 4억전세가의 A아파트"와 "8억매매가, 6억전세가의 B아파트" 모두 투자 가능은 하지만. 왜인지 모르게 B아파트는 리스크가 있게 느껴집니다..

투자금이 정해졌을 때. 어느 정도의 매매가의 아파트에 투자를 하는것이 바람직할까요??


좋은 주말보내세요!

감사합니다.



댓글


슈퍼개미짱user-level-chip
24. 02. 24. 03:16

둥그런마음님, 안녕하세요. 내집마련 중급반 수업을 들으면서 실소유 투자 관련해 궁금한 점이 있으시네요. 우선 현재 기재해주신 정보 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이 어려운 부분이 있다는 점 양해 바랍니다. 1. 총 2억을 모두 투자금으로 사용해도 되고, 안 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사람마다 다를 것 같습니다. 매월 저축액과 현금 흐름, 감당 가능한 대출 여력 등에 따라 대부부분의 비용을 투자금에 쓸 수도 있고, 아니면 리스크를 대비하기 위해 일정 금액을 떼어놔야 할 수도 있습다. 또한 이미 부동산투자에 익숙하다면 가치 대비 싼 물건에 대해 나머지 금액을 모두 투자할 수도 있겠지만, 아닌 경우에는 리스크를 어느 정도 대비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2. 이 부분은 우선 내가 감당가능한 규모인가가 중요합니다. 실소유 투자는 전세 레버리지 투자이기 때문에 시장상황이 좋지 않거나 기간이 잘 맞지 않아서 잔금을 치뤄야 하는 순간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부동산 투자 경험이 적은 분일수록 리스크를 감당(잔금을 위한 일시적 대출 포함)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조급해 하지 않고 내마중 복습 하시면서 차근차근 풀어나가시길 바라요 :) 월부 내에 있는 투자코칭을 통해 개인 맞춤형 투자 방향성 점검 및 전략을 살펴보고, 궁금한 부분도 해결할 수 있어서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