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68 본깨적 책읽기란 저자의 핵심을 제대로 보고(본 것) 그것을 나의 언어로 확대 재생산하며 깨닫고(깨달은 것), 내 삶에 적용하는(적용할 것) 책읽기
p81 1124 재독법 : 1일, 1주, 2주, 4주에 재독을 하여 기억속에 각인하는 작업
p86 333재독법 : 3일동안 3명에게 3분 동안 이야기 하는 것
p129 책을 읽는 데에도 준비가 필요하다. 스스로 질문할 세가지. 이책과 나와의 연관성은? 핵심 키워드는? 얻고자 하는 것은?
p144 밑줄 치면서 읽기
p146 본 것은 책 상단에, 깨닫고 적용할 것은 하단에 → 재독에 도움이 된다.
p155 독서 마무리 - 나에게 유용한 책인지, 얻은 것은 무엇인지, 책속의 책 또는 연관지어 읽어볼 책이나 내용 있는 지
p177 333본깨적 SKI(subject, keyword, impressive phrase), MRK(motivation, Role model, knowledge), KIA(kaizen개선, Idea, Action Plan)
p218 독서 인생, 연간, 월간 계획 세우기
p222 아인슈타인은 기억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잊기위해서 메모한다고 했다. 메모를 잘 분류하고 정리해야한다.
p223 One Book, One Message, One Action
책을 고를때도, 읽을때도 닫을때도 나의 독서 목적, 얻는 것, 적용할 것을 생각하고 정리해야한다. 그리고 다시 꺼내봐야한다.
하나의 책에서 하나의 메시지 하나의 현실적 적용점을 가져가야한다.
책을 단순히 읽지만 않고 본 것, 깨달은 것, 적용할 것을 정리하여 정리 체계를 갖추고 꺼내 볼 것 (정리와 행동의 중요성)
한가지라도 얻어갈 것
One Book One Message One Action
P. 47 책을 몇 권 읽었는가는 중요하지 않다. 책을 읽고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해법을 찾고 실제로 삶을 변화시켰는지가 중요한데, 그는 둘 다 이뤘다. 책을 읽고 방황을 끝낼 수 있는 길을 찾았고, 직장에서 없어서는 안 될 직원으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
발제문 1 자신의 생각, 태도, 행동 등을 변화시켜준 인생책이 있나요? 변화 전/후에 대한 자신만의 진솔한 스토리를 공유해주세요. 인생책의 핵심 내용과 함께 그 책이 어떻게 삶을 변화 시켜주었는지 이야기 나누어 봅시다. ⇒ 현재 기억에 남는 인생책 : 기브앤테이크
매처에 가까웠던 나에게 모든 걸 끝없이 계산해서 배풀고 받을 필요없다는 것을 알게해줬다. 나는 늘 최선을 다하고 남의 호의를 감사한 마음으로 받으면 되는 것. 기버가 되는 건 나 또한 나누면서 성장하는 것
P. 68 본깨적 책 읽기란 저자의 핵심을 제대로 보고(본 것), 그것을 나의 언어로 확대 재생산하여 깨닫고(깨달은 것), 내 삶에 적용하는(적용할 것) 책읽기를 의미한다. 책을 읽었는데도 삶에 아무 변화가 없었던 것은 책을 제대로 읽지 못했거나 읽었어도 읽은 것으로만 끝냈기 때문이라는 걸 그제야 비로소 깨달았다.
발제문 2 나만의 책을 읽는 방법, 책을 읽고 정리하는 노하우가 있는지 이야기 나누어 봅시다. 새롭게 습관으로 만들고 싶은 책을 읽고 정리하는 방법은 무엇인지 이야기 나누어 봅시다.
⇒ 이전에는 책을 읽고 잊은 경우가 많았고 기억나는 경우는 친구들에게 말한 경우 였다. 333독서법처럼 친구들이나 가족에게 말한 경우 기억에 오래 남았다.
본깨적을 적용해서 배운 걸 적용하고 실행하는 독서를 해야겠다.
p.18
안경사로서의 삶은 좋지도 나쁘지도 않았다. 그게 문제였다. 전문직이어서 직장을 구하기도 쉽고, 열심히 일한 만큼 돈도 벌 수 있었지만 밋밋했다. 가슴이 설레거나 뛰지 않았다. 하지만 '강사'를 꿈꾸면서 내 가슴은 뛰기 시작했다. 고민하면 할수록 얼마나 간절하게 강사가 되고 싶은지 분명해졌다. 이제 남은 일은 꿈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것 뿐이었다.
발제문 3 당신의 마음을 설레게 하거나 가슴을 뛰게 만드는 꿈은 무엇인가요? 그 꿈과 현실과의 차이는 어떻게 되나요? 꿈을 이루는데 문제가 되는 허들은 무엇인가요? 그 꿈에 다가가기 위해 해야할 일은 무엇인가요? 꿈을 이루기 위해 앞으로 어떤 책들을 읽어보고 싶은지 이야기 나누어 봅시다. 그 꿈을 위해 도움이 되는 책이 있다면 서로 추천해 주세요 ⇒ 꿈은 전업 작가로 사는 것
현실과 꿈의 차이는 재정적인 부분이 뒷받침되어야하는 것. 꿈에 다가가기 위해서 해야할 일은 계속 나의 경제적 자유에 다가감과 동시에 글을 놓지 않아야한다. 나를 꿈을 유지할 수 있게 도와주는 꾸준함에 대한 책을 더 읽고 싶다.
요즘의 고민은 삶이 정리되지 않다고 느끼는 것인데… 본깨적에서 나온 청소력이라는 책을 읽고 싶다.
댓글
라임페퍼칩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