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작년 10월 지기1기에 이어 오랜만에 다시 지기11 재수강 신청을 한 이유는
그동안 지방 임장을 다니면서 파악했던 부분들을
멘토님들의 지역분석을 통해 딥하게 채우고 싶었고,
내가 미처 파악하지 못한 부분들, 내가 미처 생각해보지 못한 부분들을
쏙쏙 받아먹고 더 채워넣고 싶었습니다.
꾸준한 저축과 곧 하게 될 이사로 종잣돈이 어느정도 모이면
지방광역시에 꼭 투자를 하고싶다는 열망이 가득하기에
더 귀를 쫑긋하고 들었습니다.
제주바다님의 1주차 강의도 너무 좋았고, 1주차 강의를 들으니
앞으로 남은 강의들도 더 기대가 되네요.
-------------------------------------------------------------------------------------
지방투자에 대해 먼저 설명해주셔서
지방시장이 수도권 못지않게 규모가 상당하고, 시세차익도 크게 낼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광역시=준 경기도' 이다)
또한, 지방은 수도권과는 다르게 어떤 포인트에서 사이클이 움직움직하는지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서 현재 각 지방마다 사이클 상 어느단계 즈음에 위치하는지도 알 수 있었습니다.
bm. 임보에 그 지역 투자계절 넣기
지방을 임장하고, 단지를 분석할 때 광역시 외곽에 있는 단지들.
투자해야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하는 경우들!! 저도 있었고 많은 분들이 궁금할 만한 내용이었는데
이것도 대전과 부산을 비교해주시면서 단순 '외곽'이라는 포인트가 투자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이 아니다.
라는 것을 배웠습니다.
투자는 배우면 배울수록 뭐 하나의 요인으로 뭘 결정하는 공식에 딱딱 맞는 것이 아닌 분야임을,
전체적으로 줌인, 줌아웃을 고루해가며 파악해야하는 분야임을 계속 깨닫게 되네요.
이번 제주바다님께서 강의를 맡아서 해준 지역에 대한
지역분석을 들으며 계속 감탄했던 포인트는
지역에 대한 애정이 느껴질 정도로,
그 지역의 세세한 부분까지 다 파악하려는 자세와
과거의 어떤 시기에 왜 가격이 그리 형성되었는지,
왜 이 동네가 뜬금포로 비싼지, 이 동네가 낡았는데 왜 인기가 많은지,
처음 가보면 알쏭달쏭할 만한 부분들까지도 다 인터넷 검색과 임장으로
빠짐없이 채우려고 노력하면서 쌓으신 내공이었습니다.
어떤 지역을 분석하고 알아간다고 하는 건 이렇게 하는거구나! 를 배웠습니다.
bm. 소득-학군-평당가 연결지어서 임보에 한 장 추가!
bm. 각 광역시 랜드마크 시세 임보에 한 장 추가!
bm. 생활권 순서 + 대표단지 그래프 임보에 한 장 추가!
그리고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실전 투자와 연결지어 생각하는 부분에서
제가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현재 시장상황과, 지역에 대한 분석이 끝났으면 그것을 토대로
어떤 조건의 물건을 찾아야 하는지, 리스크는 무엇이 있으므로 그것을 대비하기 위한 플랜은 무엇인지,
나중에 수익실현을 위한 매도전략까지.
배운 멘토님의 사고흐름을 복습을 통해 잘 되짚어보고,
다른 지역에서도 적용하여 준비된 투자를 해보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