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STEP1. 책의 개요
내가 읽은 책의 개요를 간단하게 작성해보세요
1. 책 제목: 본깨적
2. 저자 및 출판사: 박상배, 위즈덤하우스
3. 읽은 날짜: 2024. 2. 24.
4. 총점 (10점 만점): 10점/ 9점
STEP2. 책에서 본 것
몇 가지 핵심 키워드와 함께 내가 책 내용을 나만의 언어로 요약해보세요
[2장 이것이 삶을 바꾸는 책 읽기다]
#본깨적 #3단계 독서법 #1124재독법 #300권 #병렬독서
p70. 책을 읽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책에서 본 것이 무엇인지, 책을 보면서 무엇을 깨달았는지 정리하고, 일상생활이나 업무에 적용할 만한 것이 있는지 고민해보는 것이 ‘본깨적 책 읽기’의 핵심이다.
- 저자의 관점에서 보라: 저자의 관점에서 책을 읽지 않으면 책 내용을 왜곡하기 쉽다.
- 깨닫고 적용해야 삶이 변한다: 깨닫는 것은 ‘나’의 관점에서 깨달아야 한다. 하지만 깨닫는 것으로는 삶이 바뀌는데 한계가 있다. 깨달은 것을 현실로 만들어주는 것이 ‘적(용)’이다. ‘적’은 구체적일 수록 실현 가능성이 높아진다.
p79. 모티머 애들러의 3단계 독서법
1단계 개관 독서법: 한번 죽 훑어보고 필요한 부분만 골라 읽는 방법
2단계 분석 독서법: 책의 주제와 구조를 파악하고 내용을 완전히 이해해 내것으로 만드는 방법
3단계 종합 독서법: 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여려 권의 책을 비교하며 읽는 독서법
p84. 도망가는 기억을 잡을 수 있는 방법은 바로 ‘반복’ 이다.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을 역이용 하여 하루가 지난면 70퍼센트를 잊어버리니 하루가 지났을때 한번, 하루가 지나면 망각속도가 다소 둔화 되므로 일주일이 지났을때 한번 더 읽고, 2주째에 한번더, 마지막으로 4주째에 한번 더 반복해 읽는다. 이를 1124재독법이라고 한다.
p108. 독서를 통해 삶을 바꾸려면 300권은 읽어야 한다. 책을 읽고 깨달음을 얻고 자극을 받는 것은 한 두권의 책만으로 가능하지만 삶이 바뀌려면 깨달음과 자극이 실천으로 이어지고 습관으로 굳어져야 하는 데 쉽지가 않다. 고정관념이나 습관은 본능과도 같아서 내 안에 숨어있다가 불쑥불쑥 고개를 내민다. 그래서 지속적으로 자극을 주어 실천의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최소 300권이 필요하다.
이지성 작가는 100권 정도의 책을 읽으면 사고방식이 긍정적으로 바뀌고, 300권을 읽으면 긍정적 사고방식이 완전히 뿌리를 내리고, 700권부터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해 1000권을 읽으면 완전히 바뀐다고 말했다.
p117.
수직적 병렬독서: 비슷한 주제를 다룬 책들을 여러권 함께 읽는 것/주제를 심도있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됨 |
수평적 병렬독서: 완전히 다른 주제를 다룬 책들을 함께 읽는 것/인식의 범위를 확대하고 통찰력을 키우는데 도움이 됨
[3장. 실전! 본깨적 책 읽기]
#Before Reading #책 속 본깨적 #독서모임을 통해 함께 공유하기
p128. 책을 잘 읽기 위해 꼭 해야할 세가지 질문
첫째, 이책과 나의 연관성은?
둘째, 책의 예상 핵심 키워드는?
셋째, 이 책에서 얻고자 하는것은?
이 세가지 질문을 던지고 생각을 정리해보는 것만으로도 책 읽기의 결과는 크게 달라진다. 질문에 답을 할 때는 머릿속으로만 하는것보다 손으로 써서 정리하는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다. 손으로 쓰는 순간 생각은 보다 명료해지고, 구체화 되기 때문이다.
p147. 본 것은 책 상단에, 깨닫고 적용할 것은 하단에 적는다. 본 것은 밑줄, 박스 친 내용을 키워드나 핵심 문장으로 요약해 페이지 상단에 적는다.
p171. 책을 읽은 후에는 여러 사람이 모여 서로의 느낌과 생각을 공유하는 것이 좋다. 좀 더 적극적으로 삶을 변화시키고 싶다면 소규모라도 독서모임을 통해 본깨적 책읽기를 나눌것을 권한다.
깨달은 것과 적용하는 것은 ‘자신’의 입장에서 생각하기 때문에 각자의 삶의 경험과 배경지식에 따라 똑같은 것을 보고도 깨닫고 적용하는 것은 사람마다 다른다. 각자의 경험과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깨달은 것과 적용할 것을 이야기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생각이 확장된다. 혼자 있을때는 전혀 떠올리지 못했던 이야기를 다른 사람을 통해 들으면서 생각이 유연해지고 생각의 울타리는 점점 넓어진다.
10명이 한권의 책을 읽고 생각을 나누면 10권을 읽은 것과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장. 북 바인더, 책과 삶을 하나로 묶다]
#목표를 적으면 현실이 된다 #One Book, One Message, One Action
p. 212 목표를 머리속으로 생각할 때보다 종이에 적었을때 목표를 이룰 확률이 훨씬 높다. 1979년 하버드 경영대학원 졸업생 대상 연구를 통해 목표를 세웠는가, 목표를 종이에 기록했는가에 따라 결과가 크게 차이가 났다. 목표를 종이에 기록해두면 아무래도 자꾸 보게 되고, 그때마다 목표를 생각하고 목표를 이루려는 노력을 하게된다. 꾸준히 노력하다 보면 습관이 되고 그 습관이 쌓여 목표를 이루게 만들었을 것이다.
p. 232 ‘원 북, 원 메시지, 원 액션’ 책을 많이 읽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실천이다. 책을 읽고 많은 것을 깨닫고 적용할 것을 기록하는 것도 좋지만, 한가지라도 확실하게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책을 읽고 난 후 새롭게 깨닫게 된 점을 적어보세요
1. 책을 읽고 나면 감동을 받고 주변에 추천을 해보기도 했지만 시간이 지나면 하나도 기억에 남지 않았고, 인상깊은 구절을 메모도 했지만 1년짜리 다이어리에 적고 나중에 다이어리 자체를 정리해버리거나 적어둔 곳을 찾지 못해 적어둔 의미가 사라졌다. 본깨적 독서를 통해 내용을 더 잘 기억하고 내가 읽은 책을 잘 정리해 봐야겠다.
2. 내 삶이 항상 제자리 같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다. 삶을 바꾸려면 최소 300권의 책이 필요하다. 열기반을 수강하면서 한달에 책 두권이라는 목표를 세웠었는데 시간이 없다는 핑계로 실천하지 못했다. 2024년의 목표를 책 50권 읽기로 세우고 독서습관을 들여야겠다.
3. Before Reading의 단계는 생각을 해본적이 없었다. 목차를 읽고 책의 대략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중점적으로 읽을 부분을 생각해봐야 한다는 얘기는 들어봤지만 정작 책을 읽을때는 플로로그부터 마지막까지 꼭꼭 씹어 읽어야 한다고 생각했기에 끝까지 읽지 못하고 흥미를 잃어 덮어버린 책도 많았다. 앞으로는 Before Reading 단계를 적용하여 핵심 키워드를 뽑고 내가 이 책을 읽는 목적이 무엇인지 명확히 하고 책을 읽어야겠다.
4. 월부에 항상 강조하는 목표를 포스트잇에 적고 잘 보이는 곳에 붙여놓는 것이 중요한 것임을 다시 한번 깨달았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책 내용 중 내 삶에 적용하고 싶은 점을 작성해보세요. 적용할 점은 구체적일수록 좋아요!
1. 책을 읽기 전에 표지, 목차, 프롤로그 및 에필로그 등을 통해 중요 키워드를 뽑고 내가 이 책을 읽는 목적을 생각해보기
2. 책속 본깨적 정리하기. 본것은 상단에, 깨달은것, 적용할것은 하단에 적기
3. 책을 읽을때 가장 중요한 메시지 하나를 선정하고 실천하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책을 읽으며 기억하고 싶은 ‘책 속 문구’가 있다면 적어보세요
(P. 233) 북 바인더는 기본적으로 ‘원 북, 원 메시지, 원 액션’ 을 원칙으로 한다. 아무리 좋은 내용이 많아도 한 책에서 하나의 메시지를 선정해 그것만 실행하는 것이다.
댓글
뷰님~ 목적을 확실히 한다면 시작한 일을 끝까지 마무리할 원동력이 되는 것 같습니다👍🏻👍🏻 본깨적 독서를 통해 ‘책 읽는 사람’으로 거듭나신 것 같아요😊 앞으로의 삶에서 책과 꾸준히 동행하는 사람이 되시길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책 읽고 인상 깊었던 부분 있으시면 언제나 편하게 나눠주세요!! 후기로 남긴 책들이 오래오래 뷰님에게 남는 책들이 되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