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니입니다.
4강은 부자대디 튜터님께서 해주셨고 '리스크'에 대한 주제로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최근 레이갈리오의 '원칙'이라는 책을 읽었는데 부자대디 튜터님께서도 투자경험을 겪으면서 몸소 깨달은 '원칙' 10가지를 알려주셨습니다.
튜터님께서 알게된 리스크에 대한 원칙을 모두 알려주며 저희의 시행착오가 줄었음녀 좋겠고 모두 잘 되었으면 좋겠다는 진심을 꾹꾹 눌러 담은 강의였습니다.
첫번째로 리스크가 무엇인지,
두번째는 리스크에 대한 모든 것(준비, 대응, 그 이후)
세번째는 리스크를 관리하는 투자자
이렇게 3가지 파트로 설명해주셨습니다.
'원칙'과 '기준' 이라는 단어를 강조해주셨고 투자자는 '원칙'과 '기준'이 있어야한다고 하셨습니다.
저는 아직 원칙과 기준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강의 때 알려주신 원칙들을 잘 정리해두고 투자생활에 잘 적용해보겠습니다.
리스크를 우리는 피하고 싶어하지만 리스크를 관리하고 대응할 수만 있다면 리스크=기회 라고 알려주셨습니다.
1) 전세
투자 생활에 있어서 리스크는 '전세 빼기'이고 전세를 뺄 때는 T처럼 감정을 빼고 프로세스처럼 해나가야한다고 하셨습니다.
전세가를 높게 욕심내는 것보다 왜 빨리 빼는 것이 좋은지, 공급이 많은 지역을 어떻게 바라봐야하는 지 등 모든 경우의 수를 나눠서 세세하게 알려주셨습니다.
막연하게 공급을 두려워하는 것보다 실제로 모든 경우에 따라 어떻게 흘러갈지 직접적으로 써서 강의에서 알려주시니 제가 보고 있는 중소도시에 대입해서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공급이 많다, 적다로 끝나는 게 아니라 공급이 증가중인지, 감소중인지, 현재 많은데 없는지, 아직은 많은지, 이제 줄어드는 지의 4가지로 나눠서 리스크를 계량하시는게 인상깊었습니다.
2)특약
특약도 세세하게 너무 많은 사항을 넣으려고 하지 말고 파레토의 법칙처럼 핵심적인 부분(20%)는 무엇인지를 알려주셨습니다.
'전세 승계 조건' 이라는 사항과 '가계약금 반환'에 대한 부분을 꼭 챙겨야겠습니다.
그리고 실제 부자대디 튜터님의 투자계약 상황들로 상황대입을 해주시고 어떻게 대응, 실행했는지 알려주셔서 비슷한 상황을 만나게 되면 대처하기 유용할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3)예측하지 못한 문제들
리스크는 예측과 준비는 하지만 '대응'해야하는 부분입니다.
'대응'이란 미리 준비하는 것이 아닌 임기응변으로 어떤 일이나 사태에 맞추어 태도나 행동을 취하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는 모든 리스크를 대비할 수는 없습니다.
예상하지 못한 일은 빨리 받아들이고 대응해야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최악의 시나리오까지 생각해봐야하고 내가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을 구분하여 직접 글을 써보는게 도움이 많이 되었다고 알려주셨습니다.
4)임차인
임차인이 직접 연락 오는 경우는 거의 좋지 않은 연락이라고 하는데요.
가장 중요한 것은 임차인의 입장에서 불편하지 않도록 일을 신속하게 해결해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원만한 관계는 재계약 시에도 배려로 돌아온다고 하네요.
https://cafe.naver.com/wecando7/10569256
5)매도
시장 흐름에 따라 어떤 시기에 매도를 고려하는 것이 좋은지, 어떤 상황들이 일어날지를 정리해주셨습니다.
'더 욕심내지 않고 오르는 시장에 탐욕에 판다'는 시나리오가 가장 좋다고 합니다.
매수가 가장 쉽고 매도가 훨씬 더 어렵다는 데 저도 매도를 경험해보면서 복기와 원칙을 남겨야겠습니다.
3.리스크를 관리하는 투자자
저희가 원하는 부의 크기는 일반 회사 월급쟁이로는 이룰 수 없는 부입니다.
필연적으로 리스크를 겪게 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원칙'과 '기준'으로 리스크를 관리해야한다고 합니다.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갈아탈 후보 단지 3개를 뽑아보라는 과제를 주셨는데 꼭 해보며 목표단지를 세우고 나아가야겠습니다.
넘치는 양을 나눠주시는 강의 감사합니다.
댓글
미니니니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