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 독서 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5기 71조 은빛]

  • 24.03.01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

2. 저자 및 출판사: 너나위

3. 읽은 날짜: 2024.02.24~2024.02.29



STEP2. 책에서 본 것


1장. 왜 투자를 해야 하는가


물가라는 것은 내 소득의 증가 속도보다 더 빨리 오르기 때문에 생활이 점점 더 여의치 않게 된다. p.23

(인플레이션 속도>소득의 증가 속도)


2장. 당신과 돈이 가야 할 방향


돈을 버는 두 가지 방식 p.65

  1. 시간을 투입해서 돈을 버는 사람
  2. 시간과 무관하게 돈을 버는 사람


돈을 쓰는 두 가지 방식 p.71

  1. 소비 자산을 구입한다.
  2. 생산 자산을 구입한다.


-> 직장에 다니면서 모을 수 있는 돈을 최대한 확보하는 동시에(시간을 투입해 돈을 벌기), 그 돈을 소비 자산이 아닌 생산 자산을 사는 데 써야한다(쓰는 방식 바꾸기).

-> 위의 과정을 반복해서 시스템을 만들어라(비근로소득 확보).


3장. 평범한 직장인도 얻을 수 있는 성과


잃지 않는 투자를 하는 방법 p.155

  1. 부동산의 저평가 여부 판단 (기대x, 철저히 현재 가치만으로 판단)
  2. 적은 투자금으로 투자의 효율성(수익률) 극대화
  3. 역전세 등(리스크) 에 대비하여 내 자산을 방어할 수 있는 자금 동원력


4장. 성공 투자를 위한 필수 지식


저평가 여부 확인하는 법 p.205

  1. 아는 지역을 늘린다
  2. 서울이나 광역시의 경우 구 단위로 5곳, 그 외 지역의 경우 시 단위로 5개 이상의 지역 선정 후 조사
  3. 그 안에서 가치(입지) 대비 싼 물건을 찾고(비교평가), 그들 중 전세가율이 높아 투자금이 적게 드는 물건에 투자-> 장기보유(시스템 구축)


5장. 누구나 따라할 수 있는 투자 매뉴얼


아파트 시장의 흐름 p.262

  1. 침체기 : 매매가 하락(약보합) + 전세가 상승
  2. 회복기 : 매매가 상승 + 전세가 상승
  3. 상승기 : 매매가 상승 + 전세가 약보합(하락)
  4. 하락기 : 매매가 하락 + 전세가 하락(약보합)

-> 전국의 권역별로 부동산 시장의 움직임이 모두 다르다. (어느 시기든 투자할 수 있는 지역은 반드시 존재한다.)


임장지역 선정 순서

  1. 전국 시구 단위로 부동산 시세 확인-> 전세가율이 높으면서 가격이 저렴한 곳 몇 군데 선정
  2. 해당 지역들의 전세가율 재확인+투자금 규모 적정여부 확인 (범위를 좁힘)
  3. 추려진 지역 중 입주 물량, 미분양 현황 확인 후 구체적인 임장지역 선정


임장 순서

  1. 임장 전, 지역 조사(직장,교통,학군,환경,가격,기타)
  2. 분위기 임장
  3. 단지 임장
  4. 매물 확인
  5. 실전 투자


수월한 임대조건

  1. 가격(싸게)
  2. 집 상태(수리 상태)
  3. 입주 시기(언제든지 입주 가능이면 Good!)
  4. 사람(중개인 중요)


6장. 당신의 돈 그릇을 키우고 싶다면


  1. 실천하기
  2. 조급함 버리기 (지금 당장 투자하지 않아도 망하지 않는다)
  3. 순서를 따르고 반복하기

순서 1) 경제와 투자 관련 서적 읽기

2) 투자 관련 강의를 듣고, 오프라인 모임에 참석하여 투자 동료 만들기

3) 실제로 투자 실행하기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1. 투자는 전부 위험한 행위인 줄 알았는데 철저히 원칙에 맞게 투자하면 위험하지 않은 투자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다.
  2. 부동산 시장에도 흐름이 존재하고 성수기,비수기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았다.
  3. 부동산 투자에서는 시세차익 보다 시스템 구축을 통한 수익 창출이 더 유리하다는 것을 알았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 직장에 다니면서 소비를 최소화 하고 종잣돈을 최대한 모으자.
  2. 종잣돈을 생산 자산인 부동산을 사는 데 쓰자.
  3. 아는 지역을 늘리자.
  4. 독강임투 꾸준히!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투자는 위험하다고? 천만에! 내가 보기에 가장 위험한 것은, 아주 작은 리스크도 감당할 수 없다며 결과가 빤히 보이는 상황에서도 변하지 않으려는 태도다. p.34


댓글


은빛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