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강부짜입니다~
이번 3주차가 강의 후기를 작성하게 되었는데요. ㅎㅎ
망구99님을 처음 보았는데 생각보다 젊으셔서 깜짝 놀랐습니다 ㅎㅎ
열정적으로 강의를 해주시고 딕션이 정말 좋으셔서 귀에 따박따박 강의가 잘 들어왔던것 같습니다.
그럼 강의를 요약하고 BM할점 간단하게 후기로 남기겠습니다!!
D,E 지역 분석
출처 입력
이번 3주차는 D,E 지역의 입지분석과 투자전략에 대해 심도있게 설명해주셨습니다.
지방 중소도시의 특징을 다시한번 이해를 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해당 지역은 공급리스크가 있는 지역이어서 어떤 방식으로 투자접근을 하는지 알려주셨습니다.
1. 먼저 지역개요의 역사를 파악해야하는 이유는
"지역의 선호도"와 이와 관련된 "아파트 가치"를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해주셨습니다.
* BM : 해당 지역의 입지 가치를 파악/투자 범위 설정.
2. 인구 분석을 통해 인구 감소 ≠ 집값 하락은 아님을 기억하기
-"가격 사이클" 과 "싼 가격"에 사는 것이 훨씬 중요 -
* BM : 인구 감소 시점에 해당 지역내 선호도를 파악하라
3. 공급의 중요성
"공급은 신규투자 및 전세 재계약 시기의 입주단지 물량과 위치를 파악하여
전세 재계약 시기가 겹치지 않아야 한다."
공급 물량이 중소도시 지역 사이클을 만든다.
* BM : 해당 지역의 입지를 분석하면서 생활권 선호도 + 단지 투자범우 설정하기
166P 가격분석 총정리 시트 만들기
투자 전략
출처 입력
물건 단위의 리스크 ↔ 기대수익 따져보기
해당 지역의 공급물량이 많기에 지금 꼭 해당 지역을 지켜봐야할까?라는 의문점이 든건 사실이었습니다.
내년까지 공급물량이 상당히 많았거든요.
그럼에도 강사님은 가격자체가 싸기 때문에 충분히 투자를 고려해볼만하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아무래도 제가 못보는 미래가치를 보는 눈이 있어 배울점이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먼저 리스크와 기대수익을 따져보는 것이 먼저라고 하셨습니다.
이 기대수익은 = 내가 모을 수 있는 종잣돈+ 이미 모았던 돈 + 1년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비용
이며 요 기대수익이 리스크보다 크지 않다면 시세트레킹을 하면서 다시 기회를 바라보라 하셨습니다.
* BM : 투자 전략 시 리스크 대비 기대수익 따져보고 로드맵 짜기
시세트레킹
출처 입력
마지막으로 시세트레킹에 대한 중요성과 방법을 알려주셨습니다.
시세트레킹은 앞마당이 많은 사람들이 하는건줄 알았는데
투자 루틴중 하나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시세트레킹의 장점은
① 앞마당 단지를 기억(비교평가 가능)
② 실시간 분위기 감지
③ 명료한 투자 의사결정(빠른 의사결정 가능)
3가지이므로 시세트레킹은 꼭 해야한다고 강조하셨습니다.
순서 : 1. 랜드마크 → 2.생활권별 대장단지 → 3,. 생활권별 대표 단지들
이번 강의는 해당지역을 상세히 알아가는 시간 뿐 아니라
꾸준하게 포기하지 않고 조금씩 나아가는게 중요하다고 말씀해주는
마인드셋까지 얻어가는 강의였습니다.
포기하지 않고 실력을 ㅣㅋ워서
힘이 되고 열심히 의지되는 믿음직한 사람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강부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