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소액으로 돈버는 황금루트
자음과모음, 게리롱, 식빵파파, 제주바다

안녕하세요, 남김밥입니다.
어느덧 지방투자기초반 마지막 강의까지 끝나고 한 달이 이렇게 또 훌쩍 지나갔네요.
4주차 강의까지 듣고 가장 먼저 드는 생각은
'작년에 들었던 지기반이랑은 정말 다르다' 는 것이었어요.
제목만 들으면 같은 내용이라고 생각될 수 있지만 (그래서 왜 재수강을 하는지 처음에는 이해가 안됐지만 ㅋㅋ)
월부는 정말.. 매번 현재의 시장과 분위기를 놓치지 않고
지금 딱! 필요한 내용을 제공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렇게 또, 다음에 지기반을 한 번 더 들어야하는 이유가 생겼네요? :)
이번 지기반을 강의해주신 4분 모두 스타일이 각각 달라서 그 만큼 배울 수 있는 부분이 다양했고
앞으로 정말 갈고 닦는 노력을 해야겠다는 의지가 샘솟게 만들어주셨어요.
제주바다님, 게리롱님, 망구99님, 권유디님 모두 너무 감사 드립니다!
결국 '투자' 하기 위한 것
입지가치, 어떤 자료를 찾아보고 어떤 내용을 정리해야 하는지는 어느 정도 알겠지만
'왜' 정리하고 있는지 종종 잊어버린채 팩트 체크 위주로만 작성하고 있었던 건 아닌지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지금 내가 작성하고 있는 입지 분석은 결국 투자를 위한 정리라는 걸 계속해서 상기하며
투자에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을 끌어내며 내 생각을 적어보는 연습을 해야겠습니다.
핵심은 사람들의 선호도 파악
지방은 아무래도 조금은 낯선 곳이기도 해서
그 지역에 사람들이 왜 거주하고 있는지 한 번에 파악하기 쉽지 않더라구요.
특히 그 중에서도 입지 요인은 그나마 자료를 통해 어느 정도 알아낼 수 있지만
좋은 생활권의 구축 vs 덜 좋은 생활권의 신축 중 '이 지역' 사람들이 선호하는 단지는 무엇인지,
데이터로 증명하기 어렵지만 사람들이 선호하는 단지는 어디일지, 등의 내용은
그 지역에 직접 가보고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이나 부동산을 통해 얻지 않으면 알기 어려우니까
역시 내가 직접 발로 밟고 눈으로 보고 현장의 소리를 듣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잊지 말자구요~
이렇게 투자하세요!
중소도시에 먼저 투자해보자고 마음은 먹었지만
지금 공부하고 있는 지역 다음에 어디를 가야할지 어떻게 비교 평가를 해서 투자를 결정할 수 있을지
조금 막막했는데 권유디님이 알려주신 방향 덕분에 어느 정도 맥락은 잡힌 것 같습니다.
지방만, 서울만,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어디든 상관없이 지역을 알아가려는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올해 저의 앞마당 후보 리스트 잘 정리해보고 실천에 옮겨야겠습니다 :)
나의 의지력을 탓하지 말고
계속해서 투자 생활을 할 수 밖에 없는 환경 속으로 나를 몰아 넣기,
그래서 끝까지 살아남는 투자자 되기, 아자아자!!
BM
1. 이번 달 임장보고서 입지가치 부분에 투자 관점에서 내 생각 정리하기
2. 2024년 남김밥 앞마당 후보 리스트업
3. (사소한 것이라도) 매달 새로운 나의 투자 루틴 추가하기
댓글
남김밥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