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너나위님 부동산으로 부자되는 공식' 특강 수강 후
종잣돈이 1억 미만이라 우선 지방아파트 소액투자부터 시작하려고합니다.
그 과정에서 궁금한 사항이 2가지 생겨서 도움을 요청합니다.
1. 제가 살아본 지역(대구)에서 세부지역별로 비교평가 대상을 정하려고 하는데, 이렇게 진행해도 괜찮을까요?
혹시 한 지역 내부가 아닌 지역간 비교대상을 정하는게 더 수월하고 일반적인 Case인지 궁금합니다.
(Ex. 대구-부산-대전 간 매물 비교)
2. 너나위님께서 특강 중 지방 아파트는 교통-환경이 아닌, 환경과 연식을 따지면 된다고하셨는데
그 지역 내부에서 교통은 따지지 않아도 될지 궁금합니다.
(Ex. 각 비교대상에서 지역 번화가까지 걸리는 시간)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김진현님 안녕하세요~ 비교평가는 일반적으로 아는 지역이 많을 경우 더 용이합니다. 그래서 비슷한 체급(인구 규모)의 도시내 있는 아파트 단지들간 비교를 많이 하게 되는데요, 아는 지역이 많이 없다면 한 지역 내에서 비교평가를 해보는 연습을 하셔도 됩니다. 대구 달서구와 북구 단지를 놓고 가치와 가격을 비교하는 방식으로요. 지방에서 교통이 우선순위에 들어가지 않는 것은 지방의 도시 규모가 작아 끝에서 끝까지 이동하는데 수도권처럼 오래 걸리지 않기 때문에 교통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도시의 규모가 부산, 대구와 같이 크고, 지하철의 가치가 있는 지역에서는 당연히 중요하겠죠. 아파트에는 수학 공식처럼 정해진 것은 없으니, 많은 지역을 두루 살펴보시고 각 지역별로 해당 거주민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들을 잘 파악해 보시면 비교평가에 도움이 되실거 같습니다. 화이팅입니다!
안녕하세요. 지역간 비교를 하기 전에 중요한 것은 지역 내 비교를 하는 것 입니다. 따라서 말씀해주신 대구 내에서 비교평가를 해보시면 충분히 좋은 투자를 할 수 있는 준비가 되실 것으로 보입니다. 지방은 환경과 연식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대구는 광역시로 입지가 중요한 지역으로 땅의 가치로 선호도가 나뉘기도 합니다. 지방투자를 준비하신다면 월부닷컴에 지방투자기초반을 수강해보시는 것도 인사이트를 키우시는데 큰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화이팅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진현님 :) 1. 처음에는 지역 내에서 비교 평가를 하는 게 좀 더 수월하실 수 있습니다. 잘 모르는 지역에서 비교 단지를 선정하기도 어려울 뿐더러, 각 지역 별로 가중치를 둬야 하는 입지 요소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내가 잘 아는 지역(살아본 지역)부터 차근차근 늘려나가는 것을 추천 드리겠습니다. 물론 지역 내 비교 평가로 시작하여 아는 지역을 넓혀나가면서 결국 지역 간 비교까지 해야겠지만, 처음부터 지역 간 비교로 접근하면 대구의 A단지와 비슷한 가치를 지닌 부산의 단지가 무엇인지 선정하는 것부터 막막할 수 있습니다. 차근차근 넓혀나가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 2. 특강에서 배우신 바와 같이 지방에서 중요한 요인은 환경과 연식(상품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교통이라는 입지 요소는 대체로 지하철을 통한 이동 시간을 말 하는데, 지하철이 수도권만큼 활성화되지 않았을 뿐더러, 자차를 이용하여 충분히 일자리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자차를 이용하여 일자리로의 접근성이 중요하긴 합니다만, 수도권만큼 중요하지 않고 사람들이 거주지를 선택하는 요소에서 환경과 상품성이 더 우선시되기 때문에 그렇게 말씀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 무명인님께서 말씀하신 바와 같이 부산과 대구는 다른 지방 도시에 비해 노선이 다양하고 일자리로 직결되는 노선도 있기 때문에 다른 도시에 비해 중요한 편입니다. 정리하면,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것이지 모든 조건이 같다면 일자리로의 접근성까지 따져주면 좋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