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원씽
2. 저자 및 출판사: 게리 캘러,제이 파파산 /비즈니스북스
3. 읽은 날짜: 2023.09.12
4. 총점 (10점 만점): 7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중요한 일만 파고들어라]
사람에게 주어진 시간은 24시간으로 공평한데, 저마다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것은 모든 일을 하는 더하기가 아닌 빼기로서 가장 중요한 일에 대한 초점을 얼마나 좁히느냐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요한 일에 에너지와 시간을 써야 한다.
[도미노 효과]
성공은 동시 다발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일어난다. 작은 성공들이 쌓이고 반복되면, 최고 높은 수준의 성공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지식이 풍부한 사람, 숙력된 기술을 가진 사람, 돈이 많은 사람 등 이들은 오랜 시간에 걸쳐 배우고 기술을 기르고 돈을 번 사람이다. 오랜 시간이 필요한다.
[할 일 목록 대신 성공 목록을 만들어라]
사실 대부분의 할 일 목록은 그저 생존 목록, 즉 그날 하루와 삶을 버텨 낼 수 있게 해주는 목록일 뿐, 각각의 날을 성공적인 삶으로 이어주는 디딤돌이 될 수는 없다.
[성공에 필요한 불평등한 분배]
#파레토의 법칙
20%의 사람들이 전국 토지의 80%를 소유하고 있다는 주장이 파레토의 법칙이다. 몇몇 소수의 원인이 대부분의 결과를 만든다. 제대로 된 인풋 하나가 대다수의 아웃풋을 만들어 낸다. 선택적 노력이 거의 모든 성과를 창조한다. 성공의 80%는 20%의 노력에서 나올 수 있다. 80/20 이 비율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원칙은 같다.
[성공은 철저한 자기관리에서 온다]
성공은 생각보다 훨씬 적은 자기통제력을 통한 습관 만들기를 통해 이룰 수 있다. 새로운 습관을 들이는 데는 평균 66일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게 벌이는 일은 위험하다]
큰 일을 두려워하면 작은 사고가 당신의 하루를 지배할 것이고, 큰 일은 결코 현실이 되지 않는다. 성공은 생각에 크기에 비례한다. 내가 만드는 상자가 나에게 더 큰 힘을 줄수도, 내 움직임을 제한할 수도 있다. 크게 되려면 성장이 필요하다. 큰 것을 경험할수록 나도 커진다. 큰일을 두려워하지 마라. 평범한 이류에 그치는 것을 두려워하라. 재능의 낭비를 두려워하라. 삶을 최대한으로 살지 못할 것을 두려워하라.
[미래의 크기를 바꾸는 초점탐색 질문]
스스로에게 던지는 질문이 무엇이냐에 따라 궁극적으로 우리의 삶이 되는 해답이 정해진다. 문제는 그 질문이 뚜렷하지 않을 때가 많다는 점이다. 초점탐색 질문: 당신이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일, 그것을 함으로써 다른 모든 일들을 쉽게 혹은 필요 없게 만들 바로 그 일은 무엇인가?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1. 완벽주의적 성격으로 일, 투자 그리고 건강 모두를 어느정도 이상 해내야 된다는 생각에 갇혀 어느 하나 뚜렷한 성과를 보이고 있지 못하고 있다. 우선순위를 정하고 습관의 크기를 정해서 이를 정리해봐야겠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초점탐색 질문하기>
1.신체적 건강을 위해
-다이어트를 위해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일은 무엇인가? 약속이 없는 날에 건강한 음식 먹기
-운동을 꾸준히 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일은 무엇인가? 아침 공복 유산소 습관 들이기
2. 일을 위해
-직업적 기술 향상을 위해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일은 무엇인가? 강의듣기, 하루 1개 경험하면서 몰랐던 내용 적어서 정리하기.
3. 부자가 되기 위해,
-나의 자산 가치를 높이기 위해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일은 무엇인가? 부동산 공부 - 시세 트레킹
<매일 아침 기상 후 원씽 작성하기>
<하루 4시간 투자 공부를 위해 확보하기: 퇴근 후 7-11시>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책을 읽으며 기억하고 싶은 ‘책 속 문구’가 있다면 적어보세요
단순히 최선을 다하고 있는 겁니까, 아니면 이룰 수 있는 최고의 결과를 얻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겁니까?
무언가의 경지에 이르는 길은 그냥 최선을 다하는 것이 아니다. 최고의 결과를 얻기 위해 가장 알맞은 방법으로 노력할 수 있어야 한다.
댓글
긍졍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