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열반스쿨 기초반 2강 강의 후기 [열반스쿨 기초반 66기 56조 수구]

  • 23.09.12

내 삶을 변화시키기 위해 작성해보는 두 번쨰 수강후기 :)


열반 강의 + 업무 + 개인 일정으로 정신없는 한 주를 보내면서도, 조원분들의 응원에 힘을 얻어 2강까지 야무지게 씹어먹겠다는 의지와는 별개로.. 벌써 체력의 한계를 느끼는 중인데요! 오늘도 과제 마감일에 부랴부랴 지금까지 정리해왔던 것들을 담아 수강후기를 적어보려합니다!


구체화되지 않았던 1강에서의 나의 비전이 2강을 듣고 나서는 구체화 시킬 수 있겠다는 자신감으로 바뀐 것이 이번 강의를 듣고 가장 큰 깨달음이 아니었나 싶어요!


'내가 보고 느낀 것'을 통해서 나만의 원칙을 세우는게 가장 중요하다.

내가 잘하는, 잘 아는 것에만 투자한다는 투자 원칙을 잊지 않으려고 합니다.


[가장 빠르게 부자되는 법] 부린이에서 투자 고수되는 법


어떻게 해야 수익을 낼 수 있을까?

지금 나의 현재 상태에서는 어떤 방법으로 접근해야하나?


"우리 모두 하락장을 걱정한다."

but, 우리는 지금 떨어지면 잃을 자산도 없는데 뭐가 불안한가?


  • 워렌버핏 曰 "아무도 시장을 예측할 수 없다. 매일 좋은 투자를 하는 사람도 없다. " 투자의 본질 = 싸게사서 비싸게 판다. 좋은 시기가 아니다 = 약세장 = 투자하고 매수하기 좋은시기 30년 뒤에 수익이 났다면 좋은 투자인 것


초보 투자자의 현실

"투자의 성공여부는 얼마나 오랫동안 세상의 비관론을 무시할 수 있는지에 달려있다. 투자자의 운명을 결정하는 것은 머리가 아니라 배짱."

= 하락장에서 용기내서 사고, 상승장에서 남들이 취해있을 때 판다.


우리는 잃지 않는 투자자가 되어야 한다.

월부에서 1년이면 배울 수 있다.

투자는 결국 내가 아닌 돈이 일하게 하는 것


  • 일본의 워렌버핏 사와카미 아스토 曰 1) 투자는 농사꾼의 마음으로 농작물을 키우고 재배하듯 해야 한다.(단기간에 수익을 내려는 조급함의 문제) 2) 불황일 때 싸게 사서 호황일 때 비싸게 팔아라. → 투자의 전부 3) 5년 10년 장기간 응원할 수 있는 것에 투자하라. 흔들리지 않아야 한다. 결론 : ① 가치있는 물건을 싸게 사라 ②규모의 경제(시스템) ③장기간 보유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앞으로 부동산 가격은 오를까? 떨어질까?

  • 부동산의 입지 (부동산의 가치를 결정짓는 6가지 요소) 직장(결국 우리가 투자하려는 지역이 3도심이랑 얼마나 가까운지가 제일 중요-강남,영등포, 여의도) 교통(같은 금액이면 가급적 강남30분 이내, 강남1시간 이내, 종로/여의도/구로 등 30분 이내 지역으로) 학군(직장을 다니고, 결혼을 하면 아이를 좋은 곳에서 기르고 싶은게 기본 욕구이기 때문, 학군 좋은 곳이 임대수요가 많음) 환경(공원, 백화점 등 편의시설과 동네분위기, 거주연령(3-50대) 호재/악재(여기서 중요한건 진짜 호재인지 판단하는게 중요) 브랜드


저평가 물건을 찾는 방법

: 현재 가격보다 가치가 중요

같은 가격일 때 어디가 더 좋은지 비교평가해야 한다.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두 가지

1) 흐름(통화량, 물가, 입지독점성, 수요 등) : 장기적으로 가격에 영향을 미침 - 거시적 요소(숲)

2) 현황(경제상황, 심리, 입주물량, 코로나 등) : 단기적으로 가격에 영향을 미침 - 미시적 요소(나무)

부동산 공부 초보자는 미시적 요소를 아는게 중요함.


[200억 부자의 투자 레시피] 월부의 너바나 레시피, 무조건 수익 난다!

부동산이 오르는 것은 선택의 문제가 아닌 생존의 문제

평균적으로 10년 뒤 전세가가 2배, 80프로 올랐으니 과거를 통해 앞으로 10년 뒤를 예측할 수 있다.

전세가는 매년 8% 씩 올랐다.

우리는 5%씩만 올려도 리스크 관리하며 투자 가능하다. (시스템을 만들어서)


투자를 상황에 따라 하는게 아니다. 나의 원칙과 내가 잘하는, 잘아는 것만 투자한다.

  • 원칙에 따라 투자한다. 투자 대상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 투자는 본인이, 책임도 내가진다.
  • 과정과 결과 모두 중요하다. 실력은 곧 돈이다.
  • 투자의 리스크와 성과를 알고 투자한다.


  1. 저평가여부(같은 가격인데 어디가 입지가 더 좋은지, 같은 입지라고 하면 어디가 더 저렴한지 비교평가 할 수 있어야 한다.)
  2. 환금성(투자해서 내가 다시 현금으로 가져올 수 있는지)
  3. 수익률(투자금 대비 내 돈이 얼마로 돌아오는지)
  4. 원금보존(내 목표수익률에 적합한지, 최악의 손실은 얼마인지)


3강부터는 분위기 임장도 해야하는데, 2강에서 배운 내용을 다시 복습하고 3강 후기 작성할 때에는 내가 실제 어떻게 행동으로 옮겼는지 생생하게 적을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ㅎㅎ! 본격적으로 더 집중해야겠어요.


댓글


수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