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살아있는 책 읽기는 독서 마인드 셋, 본깨적 독서법, 북바인더로 이루어진다.
본깨적 독서법은 책 속 저자의 핵심을 제대로 보고(본 것), 그것을 나의 언어로 확대 재생산하여 깨닫고(깨달은 것), 그리고 삶에 적용하는(적용할 것) 책 읽기이다.
책을 보려면 저자의 관점에서 보려고 해야한다. 저자가 왜 그런 이야기를 했는지 이해하려고 하는 노력들이 사고를 확장하고,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는 데 도움이 된다.
책을 볼 때는 저자의 관점에서 보아야 하고, 깨닫는 것은 철저하게 "나"의 관점에서 깨달아야 한다. 스스로 깨달은 것이면 무엇이든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 동력이 된다. 깨달음에는 정답이 없다. 깨달음은 변화의 시작이다. 생각이 바뀌면 행동이 바뀌고, 행동이 바뀌면 습관이 바뀌고, 습관이 바뀌면 비로소 인생이 바뀐다. 깨달은 것을 현실로 만들어주는 것이 "적용"이다. 적용은 구체적일수록 실현 가능성이 높아진다.
책을 제대로 읽기 위한 3단계 프로세스는 준비(Before Reading)-읽기( Reading)-마무리(After Reading)이다. 책에 대한 사전 탐색을 통해 당장 읽을 만한 책인지, 차후에 읽어도 되는 책인지 등을 판단하는 과정으로 준비( Before Reading)과정이 필요하구나 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도 책을 보기 전에 목차를 훑어보고 저자에 대해 살펴보기는 했었다. 좀 더 Before Reading양식지로 체계적으로 확인하는 습관을 들여야겠다. 마무리(After Reading)도 After Reading 양식지로 평가하고 핵심 키워드 3개를 선정하는 것이 책의 내용을 잘 기억하고, 반복해서 읽을 가치가 있는 책들, 인생 책들을 정리하는 좋은 방법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읽기에서는 본 것, 깨달은 것, 적용할 것을 중요한 내용이 있는 페이지 여백에 적어두는 것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재독에 도움이 되고, 삶을 바꾸는 독서의 핵심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읽는 동안에는 좋은 내용이라고 생각한 것이 페이지를 넘겨 지나고 나면 잊혀져 버리고 피상적으로 좋은 책을 읽었다는 뿌듯함만을 느끼고 마지막 장을 덮는 경우가 얼마나 많았던가!
본깨적은 독서를 위한 아주 좋은 길잡이임을 확신한다. 책을 통한 삶의 변화, 습관의 변화, 생각의 변화를 체계적이고 확실하게 할 수 있게 하는 독서교본이라고 감히 말하고 싶다.
이것들을 실행하고 습관화하는 시도를 당장 시작한다!
댓글
빛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