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2강에서도 큰 깨달음을 많이 얻었다.
월부 강의를 듣기 시작한지 이제 한 달 반 정도 된 것 같은데,
내가 투자대상으로서의 부동산을 보는 시각은 정말 많이 바뀐것 같다.
예전에는 강남이 왜 비싼지 이해를 못했다.
그냥 돈 많은 사람들이 사는 동네라 비싸구나 정도로만 이해했다고 하는게 정확한것 같다.
그러나, 이번 열기 2강에서는 강남에는 양질의 일자리가 많고 특목고를 보내는 중학교가 많기 때문에, 그것들이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쳤다는것을 알게 되었다.
부동산은 기본적으로 수요와 공급에 의해 가격이 결정되지만,
장기적인 관점으로는 인플레이션 때문에 가격이 상승할 수 밖에 없는것이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서울의 아파트 가격이 너무 높기 때문에 서민들이 살기 힘들다는 이유로 아파트 가격이 내려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아파트 가격이 내려가면 서민들에게 정말 좋은 세상이 될 까?
장기적인 관점에서 아파트 가격이 올라야만 하는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봤다.
첫 번째, 아파트 가격이 하락하게 되면 전세제도는 사라질 것이고,
월세+아파트 시세 하락분 금액으로 무주택자들에게 돌아올 것이다.
왜냐하면 시세차익을 더 이상 기대할 수 없는 전세 레버리지 투자자들에게는
앞으로 하락할 아파트를 살 일이 만무하다.
그렇게 되면 아파트의 월세 가격은 자연스럽게 상승할 것이고 사람들은 한 달에 월세로 지출하는 비용이 더욱 커질 것이다.
태어날 때 부터 집이 있는 사람은 없다.
누구든 내 집 마련을 하기 전 까지는, 남의 집을 거쳐가야 한다.
그런 상황에서 월세로 무리한 지출을 하게 되면 과연 사람들이 내 집 마련 하는 날이 오게 될까? 나는 잘 모르겠다.
두 번째, 아파트 가격이 오르지 않으면 투자가 줄어들어 자연스럽게 신축 아파트 공급이 자연스럽게 줄어들면서 도시가 노후화 된다.
물론 유럽같이 멋진 건축물들이라면 모르겠지만,, 서울은 그러한 도시들과는 이미 너무 다른 길을 걸어온것 같다.
건축한지 50년 이상 된 아파트들이 빼곡한 서울이 과연 건강할지 그것도 생각해봐야 할 문제인것 같다.
그리고 투자 공부하는 법으로
책/전문가 칼럼, 강의, 실전투자, 멘토, 러닝메이트가 중요하다고 하셨는데,
다 월부 안에서 해결 가능한 것들이라 강의 커리큘럼을 열심히 따라가고
커뮤니티 활동도 열심히 하는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목실감.. 이번 과제가 끝나더라도 앞으로도 최대한 작성해보려고 노력해야겠다.
30분 단위로 시간을 관리하는것이 물론 쉽지는 않겠지만, 쉽지 않은 만큼 얻는것도 많을 것 같다.
열기 반장님도 나에게 너무 좋은 멘토가 되어주시고 있고, 다행히 조모임을 통해 좋은 조원들을 많이 만나고 있어서 러닝메이트도 문제 없을것 같다. 나도 다른 사람들에게 좋은 러닝메이트가 되어야지!!
댓글
제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