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기 11기 9준히 투자해서 부자의 3살조 예향] 1주차 강의 후기(대전지역분석_제주바다님)

23.08.08


안녕하세요? 지기 11기 9준히 투자해서 부자의 3살조의 예향입니다.

날이 더워도 너~~무 덥네요. 건강관리 잘 하시길 바랍니다. ^^

저는 제주바다님의 강의가 너무 좋아서 이번 지기반 1강도 엄청 기대를 하면서 듣게 되었습니다.

대전 서구는 제가 처음으로 다녀왔던 지방이었는데요. 혼자서 자실을 하면서 다녀왔기 때문에 더 기억에 남는 곳이었네요. 하지만 수도권에서 살고 있는 제가 지방에 가서 입지평가를 하는게 어렵기도 했습니다. 지방을 바라보는 기준이 다르다는 것을 잘 이해하지 못했던 것 같아요. 그래서 지방을 이해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그런 기대하는 마음으로 강의를 듣게 되었습니다.

강의를 듣고 한마디로 깜~짝 놀랐습니다. 분명히 저도 대전 서구 다녀왔거든요~ 지역분석 했고, 임장보고서 썼거든요.

그런데 지역을 이해하는 넓이와 그 깊이가 이렇게 다를 수 있는겁니꽈?? 와~! 이게 거인의 어깨에 올라타서 가는거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제주바다님께서 말씀하신대로,,, 대전을 이해하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식으로 광역시를 바라보고, 분석하는지 그 과정을 벤치마킹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지방!! 투자가능한 계절이 왔다!!>

수도권에서 살고 있는 저는,, 왠지 지방 투자는 어렵고, 불안하다는 생각이 있었던게 사실입니다.

잘 모르는 지역이기도 하고, 멀고, 더군다가 수요가 한정적이어서 잘 오르지도 않고, 오른다고 하더라도 언제 떨어질지 모른다는 그런 생각 말입니다. 그런데 제주바다님께서는 자신있게 지금 지방투자를 해야 한다고 하셨어요. 더욱이 지방 광역시도 수도권과 마찬가지고 장기투자를 할 수 있다는 말씀에 지방 투자를 더 긍정적으로 바라보게 되었네요. 그 이유를 근거를 가지고 설명해주시니 더 확실히 깨닫게 되었고요. 꼭!! 광역시에 투자 하겠다는 의지가 불끈 생기더라고요~!! *^^*


B.M 꼭 지방투자 한다는 마음으로 앞마당 만들기! 지금 투자 가능한 계절이 왔다는 것을 잊지 말기!


<지방투자 우선순위- 광역시>

지방에 임장을 다니면서 진짜 헷갈렸던 부분을 제주바다님께서 표로 정리해주셨어요. 입지 좋은 구축, 외곽 신축. 어디가 투자 우선순위인지 정말 어려운거에요. 그런데 이 부분이 수도권, 광역시, 중소도시 기준이 다르더라고요. 저는 왜 이런 생각을 못했을까요? 머리가 완전히 명쾌해지는 느낌이었습니다.

또한 수도권과 다른 지방입지평가기준을 알려주셨는데요. 확실히 수도권과는 다른 부분이 있었네요. 지방에서 특히 더 중요하게 봐야하는 부분, 수도권 단지보다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부분들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 부분을 생각하면서 이번 임장지에서 입지평가를 해봐야겠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대전을 예를 들어서 입지평가를 해주셨어요. 저도 예전에 대전 임보 쓸 때 입지평가를 했는데요. 잘 평가한 부분도 있고, 좀 부족했던 부분들도 있더라고요. 다시 돌아가서 수정해야겠습니다. ^^


B.M 지방 입지평가를 할 때 입지평가기준표를 이용해서 입지평가 하기(시, 구, 단지 모두 평가), 대전시 입지평가 수정하기


<대전 입지분석의 A부터 Z까지!!>

이번 강의는 제주바다님의 투자자로서의 안목을 제대로 알아볼 수 있는 시간이었어요. 실준반 때도 강의 좋다고 생각했는데, 실제로 지역을 분석하는 시야를 엿볼 수 있게 되면서 진심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이렇게 지역을 깊이있게 이해하기까지,, 얼마나 많은 시간을 대전 땅을 밟고, 컴퓨터 앞에 앉아서 임보를 쓰셨을까요? 원래도 멋지다고 생각했었는데 더욱더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저는 대전 서구만 알고 있어서 옆에 붙어있는 유성구도 잘 모르고 있었거든요. 그런데 대전의 서구, 유성구, 중구. 동구, 대덕구까지 모두 알려주시니 시야가 넓어지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이번 지기반 강의 끝나고 대전 유성구에 가야겠다는 생각도 들게 되었어요. 대전이 참 매력적인 도시라는 생각이 다시 들었답니다. ^^

대전 입지분석에서 가장 하이라이트는 공급 부분이었는데요. 지방 투자를 할 때 공급을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고 하셨어요. 그래서 아~주 깊이 있게 분석적으로 공급을 보았네요. 아~ 이정도까지 봐야하는거구나 싶었습니다. 공급과 매매, 전세 흐름을 한 그래프에 올려놓고 함께 살펴보니 더 이해가 잘 되더라고요. 공급에 따라서 어떻게 매매가, 전세가가 변하는지 살펴볼 수 있어서 좋았고, 이런 인사이트를 앞으로 투자할 때 사용해야겠습니다. ^^ 제주바다님께서 투자할 때 반드시 공급달력을 만들어야 한다고 하셨어요. 이렇게 한 달 한 달 따로 보면서 투자 기회를 잡아야 한다고요. 그리고 공급지도가 세트처럼 따라오는 것 같아요. 임보 쓸 때 공급지도까지는 너무 힘들어서 패스하곤 했는데 공급만큼은 힘들더라도 잘 챙겨봐야 할 것 같습니다. 또 인상깊었던 부분이요. 일자리, 업무지구를 아주 자세히 살펴보시더라고요. 구별로 어떤 산업이 발달했는지, 직장 연봉은 어떤지, 어느 지역에 업무지구가 있는지 등을 자세히 살펴보시더라고요,

저는 시세를 조사해서 가격 비교를 하고, 어떤 단지가 저평가가 되었는지 판단하는게 너무 어렵더라고요. 그런데 지도에 여러 단지를 올려놓고, 과거 가격, 전고점, 현재 가격을 비교하면서 설명해주시고, 그 가운데에서 투자할 때 유념해야 하는 부분을 설명해주셔서 참 도움이 되었어요.이런 식으로 비교평가하고, 입지비교해서 1등을 뽑는거구나 싶었습니다. 제주바다님께서 알려주신 내용을 잘 숙지해서 다른 단지들도 비교해봐야겠습니다.


B.M 공급달력, 공급지도 그리기

업무지구 잘 살펴보기

단지 비교평가할 때 입지분석 한 내용 반영하기


제주바다님께서 대전에 기회가 있다고 하셨어요. 그 말을 들으니 기대가 되더라고요.

대전을 다시 살펴보고 투자 기회가 있는지 살펴보고 꼭 대전에 투자를 하는 성과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강의 해주신 제주바다님~ 감사합니다~~


B.M 대전 유성구 앞마당 만들어서 서구와 비교해보기







댓글


예향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