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서남권 시장 매매지수 확인 시 가정먼저 오르는 지역은 "양천구, 영등포구"
-> 재건축 시장(여의도/목동)의 시세를 보고 있으면 전체적인 시장의 흐름을 알 수 있게 된다
"재건축이 시장에서 먼저 반응"
-현재 전세가울 50%대, 전세가율 10%올리는데 약 2년 소요됨
-> 2년안에 어떻게 앞마당을 만드는지 중요
-서남권 인구이동은 대부분 서남권 내에서 일어나지만 "강서, 구로, 금천구"의 경우 수도권으로 인구이동 확인 됨,
동작구는 서초구, 강남구로의 인구 이동 활발
-> 외곽으로 빠지는 강서, 구로, 금천구의 경우 인근 공급까지 확인해야함, 입지독점성을 못느끼는것
-> 공급의 경우 매트릭스 형식으로 정리하여 관리 할것!
-학군수요확인시, 신도시의 경우 특목고진학률과 학원가, 부동산전화해서 알아보기
-불수능, 의대증원 등 이슈가 있을 시 학군지 전세가 오름
->양천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으로 갈수록 학생수 증가함, 학군 중요한 지역, 도로 하나 차이로 학군 갈림
-학원가는 주변에 메인지역이 있을 경우 학원가 발달 어려움(목동인근의 강서, 영등포 등)
-생활권내 중심이 어딘지 봐야한다! 생활권 내 중심과 가까울수록 좋음
-인근 신축(뉴타운)이 들어올때 신축으로 못들어가지만, 뉴타운의 인프라를 누리고 싶은 경우 인근 구축으로 들어온다! 주변 구축을 잘 봐줘야하는 이유!(신길뉴타운 주변 구축)
-지역내에서 단지간 비교시, 직장/공급은 공통이니 "교통, 학권, 환경/균질성"위주로 비교해야함, 모두 비슷하다면 꼭 임장가서 확인
-영등포구 내 신길뉴타운 인근 구축
-> 균질성 좋고 신길뉴타운 인프라 누릴 수 있는 장점, 신림선 개통 당시 시장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업무지구로 연결되는 노선임에도 가격에 반영되지 않았음
->영등포 신길뉴타운 단지분석 시 22년도 신림선 개통당시 가격 흐름도 같이 봐야겠음
-강서구는 마곡이 독보적으로 높은가격을 형성하고 이후 9호선을 중심으로 가격이 형성됨
-> 9호선라인 중 생활권 좋은순으로 가격형성, 9호선라인 자체의 입지선호도가 있으니 주변 잘 봐야함
-신축의 기준 "2013년 이상, 준신축 2007년 이상, 그 이전은 구축"
->준신축의 기준은 지상 주차 여부! 단지마다 시점 조금씩 다르니 지상 주차 여부로 단계를 확인해볼것
-균질성이 좋은 지역이라면 내가 봐야할건, "역에서의 거리, 학군수요가 조금이라도 우위에 있는곳"
-가격을 먼저 보지 말고 가치를 비교해보고 가치를 보자
-24평에는 어떤 사람들이 거주할까? 자녀가 어린 사람들, 초등학교 인근 가까운지 중요
-목동 좋은학원가의 기준을 볼 수 있으니 꼭 가보자!
*단지 내 20,30평대 비교도 꼭 같이 해봐야함
->시장이 좋이 않을 때 집을 사는 사람들은 필요에 의해 매수를 하므로 20평대가 먼저 치고 올라감.
단, 20평대 중 최소방2~3개 구조임 중요, 가격이 더 오르게 되면 사람들은 더 좋은 상품, 더 큰평형대의 아파트를 보게 되는 심리로 변화되어 30평대 상승이 더 크게 됨
"임보 작성 시 꼭 적용할것"
-가격이 같이 움직이는 아파트라면? 수도권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하는 부분은 학군지가 아니라면 교통과 일자리임
-종잣돈 1억~3억구간이라면 2급지 먼저 보고 3급지 보자!
좋은걸 봐야 나쁜것도 알고 나쁜걸 봐야 좋은것도 암
-급지를 바꿀 수 있다면 평형을 포기해도 된다, 덜 좋은데 30평대보다는 더 좋은데 20평대가 나을 수 있음
댓글
굵고길게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