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지방투자 기초반 1주차 강의는 제주바다님께서 진행해 주셨습니다.
대전광역시에 대해 하나하나 짚어주셨는데,
마침 대전 유성구가 임장지라서 너무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사실 강의 듣기 전에는 수도권, 지방, 중소도시 모두 다른 입지 기준을 적용해야 된다는데
무슨 차이가 있길래 그런 거지? 왜 동일하게 적용하면 안되는 거지?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강의를 듣고 분임을 다녀오고 임장보고서를 작성할수록 확신할 수 있었습니다.
산업단지가 어마어마한 규모로 있는 곳에 신축 아파트만 덩그러니 있는 곳이 대장이고,
대단지 신축이 어마어마한 규모로 들어서고 다른 건 없는 곳이 사람들이 선호하는 곳이었습니다.
서울은 입지. 중소도시는 상품성.
광역시는 입지 + 상품성 + 개별성
이해하려고 하지 말고 받아들이자!
사실 대전은 한 번도 가본 적이 없는 곳이라
생소한 지역 명칭과 아파트 이름(수도권에서 볼 수 있는 브랜드 아파트는 거의 없더라고요)이 익숙하지 않아 강의에 집중하기 어려웠는데, 분임을 한번 다녀온 지금 강의를 복습하게 되면 훨씬 흡수가 잘 될 것 같습니다.
대전뿐만 아니라 부산, 대구, 울산, 광주도 같이 비교평가해 주셔서 궁금해졌고,
지금 대전에 집중해야 하는데 벌써 다음 임장지를 어디로 정해야 할지 두근두근합니다.
대전 입지분석을 하면서 유성구와 서구의 위상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는데,
강의에서 말씀해 주신 것처럼 원도심 개발계획이 많아서 동구, 중구도 꼭 가보려고 합니다.
실제 분양 예정인 재개발, 재건축 단지들이 많아서 기대가 됩니다.
지 : 아는 단계에서
행 : 실제 행동까지 이어질 수 있게 해야 함.
아는 것에 그치지 않고 실제 행동까지 이어지도록 하겠습니다.
지기 12기 68조_6십억 부자위해 방방곡곡 8도지리 임장하조.jpg
관련 강의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댓글
띵띵E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