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이웃집 백만장자 변하지 않는 부의 법칙
2. 저자 및 출판사: 토머스 스탠리 세라 스탠리 팰로
3. 읽은 날짜: 2023.09. 16
4. 총점 (10점 만점): 10점/ 8점
STEP2. 책에서 본 것
[제3장 백만장자는 어떻게 만들어 지는가]
그녀의 검소한 어머니는 저축한 돈은 즉시 가족 사업에 투자했다. 첫 번째 사업은 식당이었다. H씨와 그녀의 형제자매는 초등학생 때부터 가족이 경영하는 식당에서 일했다. 어머니는 아이들 옷뿐 아니라 자신의 옷까지 중고품 할인점, 굿윌스토어, 벼룩시장에서 구입해 돈을 절약했다. 그렇지만 가족 누구도 그들이 불우하다거나 가난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재산이 모이면서 가정 형편이 보통에서 부유한 쪽으로 바뀌는 중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중고품 할인점에서 산 옷을 입어도 굴룍감을 느끼지 않았다. 나중에 어머니는 식당이 세들어 있던 건물을 샀다. 그 뒤로도 부동산을 사들여 소득을 창출하더니 쇼핑센터까지 몇 개 인수했다
[제5장 백만장자의 DNA 인내심]
# 그릿 #경제적 자립을 향한 마라톤 #장기적 목표에 대한 헌신 #자기 통제력
표준화 시험이 경력 전체의 성취를 예측해주는 지표로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 기사를 읽고서 나는 이 점을 생각하게 됐다. 그 기사의 저자는 "SAT부터 NFL의 스카우트 콤바인에 이르기까지 단기적 시험은 문제가 있다."라고 지적한다. "성공한 인생을 살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 중 다수는 그릿(열정적인 끈기의 힘)과 자기 통제력 같은 성격 특성으로 밝혀 졌으며 이것들은 단번에 특정될 수 없다. 그릿은 장기적 목표에 대한 헌신을 나타낸다.
[제 5장. 백만장자의 DNA 인내심]
#원하고 #집중하고 #기다려라
내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영업직은 자수성가한 백만장자들의 첫 번째 직업으로 가장 자주 언급된다. 영업은 자제력과 끈기를 높이는 동시에 자신의 의지를 시험하기 좋은 일이다. (중략)그리고 인내심이 가장 자주 언급된 성공 요인이라고 결론 내린 후 책에는 이렇게 썼다. "응답자 대부분이 초반의 실패와 가족과 친구들의 강한 만류를 경험한 후에야 성공할 수 있었다고 보고했다. 그들은 장애물을 극복하고 싶은 마음, 사람들이 틀렸다는 것을 증명하고 싶은 투지로 넘쳤다. 이들 대부분은 인냄심의 핵심 하위 구성 요소로 강한 염원, 승진과 명예에 대한 강한 야망을 들었다. 응답자들은 오랜 기간 계속해서 원하는 결과에 집중하는 것이(인내심)성공의 열쇠라고 강조했다.
[제6장 안정보다는 모험을 택하는 부자들의 직업관]
#변화하는 일의 세계 #부 축적하기
만일 당신이 현재 직장에 갇힌 느낌이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 다시 시작하거나, 다른 직장으로 옮기거나, 자기 사업을 시작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사람들은 어떻게 직장을 바꿨을까? 어떻게 직장인에서 자영업자로 변신했을까?
개인 재무 관리와 마찬가지로 경험이나 평판과 같이 일과 관련된 자원을 구축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고용 상태와 상관없이 부업등의 기회를 계속 엿보는 것은 지식과 경험 자본을 쌓게 해주며, 그 자본들을 활용해 이직하거나 스스로 기회를 만들 수 있다. 하지만 더 중요한 일은 필요할 때, 원할 때 경력의 변화를 시도할 수 있도록 금전적 여유를 확보하는 것이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1.나는 부자로 보이고 싶어하는 (가짜부자) 흉내를 내려고 노력하고 있었나? 아니면 진정한 경제적 자유를 누리는
진짜 부자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나?
: 부자로 보이고 싶어서, 거주지와 아이 학교를 선택하게 된 건 아니었는지? 다시 뒤돌아보게 된다. 주변의 시선을 신경 쓰느라고 필요없는 지출을 하지는 않았는지? 내가 절제된 소비를 하고 있었는지? 사실은 필요없던 지출도 있었던 것 같아서 나자신의 지출 패턴을 의심해보게 되었다.
2.나는 절제된 행동을 제대로 할 수 있는 인내심 있는 (미래의)부자 그릇이 있는지 부터 생각해봐야 겠다.
지출과 투자시에 인내심이 있게 행동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겠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 인내심 을 가지고 투자 결정을 내리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댓글
비비디바비디부1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