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p.116 늘 경계하고 집중해야 할 것은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는 치명적인 리스크다. 예컨대 조종사가 1만 번의 비행 중 단 한 번 추락하는 것은 치명적 리스크다.
=> 더 벌지 못해도 잃지 않는 투자가 중요한 이유. 희망 회로를 돌리기보다 최악의 상황을 대비하며 안전한 투자를 해야한다.
p. 181 괜찮은 뭔가를 지나치게 밀어붙이고, 결과를 지나치게 빨리 얻으려 하고, 지나치게 짜내려다가 오히려 역효과가 돌아온다는 것을 역사가 보여준다. 모든 일에는 적절한 규모와 속도가 있다. 그 선을 넘으면 문제가 생긴다.
p.185 10년 또는 그 이상 투자하면 시장은 거의 항상 인내심에 보상을 해준다. 투자 기간을 압축할수록 투자자는 운에 더 의존하게 되고 실패하기 쉽다. 역사 속 투자 실패 사례 중 자그마치 90퍼센트가 이 자연스럽고 가장 알맞은 투자 기간을 짧게 압축하려 한 탓에 일어났다
=> 조급함을 버리고 씨앗을 뿌린 뒤 인내할 수 있어야한다.
p. 229 대부분의 재앙은 일련의 작은 리스크가 쌓이고 증폭되어 거대한 뭔가로 변할 때 일어난다. 반대도 마찬가지다. 대부분의 놀라운 성공이나 성취도 작고 하찮은 뭔가가 쌓여 특별한 것으로 변할 때 일어난다.
=> 리스크는 작은 것도 그냥 넘기지 말고 돌다리도 두들겨보고 건넌다는 마음으로 조심하며, 대비하자. 지금 현재 하루하루 작은 노력들이 당장은 보잘것 없고 변화와 성장에 도움이 되는게 맞는지 눈에 보이지 않아도 이것들이 쌓여 앞으로 나의 미래를 성공의 길로 인도할 것이라 생각하고 하루하루 노력해야겠다.
p. 390 개인이나 집단 간의 견해 및 시각 차이로 인한 충돌은 역사에서 늘 있어온 인간의 기본적 행동 패턴이다. 왜 저 사람은 나와 의견이다를까?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무수히 많다. 저 사람은 이기적이니까, 멍청하니까, 분별력이 없으니까, 무식하니까 등등. 그러나 대개는 이 질문을 던지는 것이 현명하다. 저 사람은 내가 경험하지 못한 무엇을 경험했기에 그런 견해를 갖고 있을까? 만일 저 사람과 같은 경험을 한다면 나도 저렇게 생각하게 될까?
=> 나와 다름을 불편한 감정으로 대하여 그 사람을 깎아내리거나 폄하하는 태도를 지니기보다 나와 다른 사람에게서 배울 점을 찾는 태도를 지녀보자. 나와 다름을 인정하고 배우는 태도로부터 나의 생각의 반경이 더 넓어지지 않을까?
댓글
행복만가득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