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실전준비반 2강 강의후기 [실전준비반 55기 71조 통통이]

24.04.14

나에게 특히 와닿았던 점

이번 강의는 임장보고서에 대해서 어떻게 작성해야하는지를 좀 더 세부적으로 알 수 있는 강의였다. 1강을 들으면서 평가 기준에 대해서 들었다면, 2강에서는 그 평가 기준을 어떻게 임장보고서에 녹여서 쓸 것인지를 좀 더 자세하게 알 수 있는 강의였다는 생각이 든다.


기존에 1주차 임장보고서 과제를 작성 하면서 템플릿 대로 작성을 했었지만, 이번 강의를 활용해서 향후 임장보고서 작성 시 더 세부 분석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1. 지역 정보 (연령별 인구 관련): 연령별 인구 구성에 따라서 해당 지역의 사람들이 어떤 평수와 특징을 선호하는지를 좀 더 세분화해서 볼 수 있었다. 또한 가구 소득의 비중도 함께 살펴보면 좋다.


2. 입지 분석(교통): 교통이 중요한데 역에서 역까지 얼마나 걸리는지로 교통을 판단하면 된다는 것, 나는 해당 아파트 단지에서 강남역까지의 거리로 현재까지 판단을 했었다.

-> 또한 호재는 상승장에서는 기름 역할을 하지만 하락장에서는 찬밥신세. 그러니 하락장에서 호재가 반영되기 전에 투자하는게 BEST


3. 시세확인: 임장지+주변지역의 평당가 및 전세가율을 확인하며 임장지의 위상을 확인 -> 지역 내 랜드마크 시세 확인 -> 개별단지 시세 따서 시세 지도 반영하기 -> 임장 단지별 정리 및 순위 선택 & 최종 매물 결정


적용 해 보고 싶은 점

1. 지역 정보(지도와 특징): 동별 특징 관련해서는 분위기임장을 같이 병행하며 해당 동에 대한 느낌을 적어두자/ 분위기 임장 시에는 어떤 상권이 있는지 (학원가? 병원?) 주변 사람들의 연령대나 분위기는 어떤지/ 역과의 거리는 어떤지 / 경사가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자


2. 입지분석 (환경): 정량화 할 수는 없지만, 환경 분석 중 "환경적 균질성/ 택지의 쾌적함"도 거주 만족과 가격 상승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런 부분은 분위기 임장을 통해 살펴보자. 또한 임장을 하면서 선호상권/비선호상권/본인의 생각을 적는 연습을 하자

-> 동별 입지 분석을 하고 전체 입지 분석을 하며 정리 하기


3. 시세 트레킹 및 비교 분석: 시세 트레킹을 할 때에는 동시에 단지 임장을 하면서 단지별 특징을 정확하게 알아야 순위를 매기고 1등을 뽑을 수 있을 것 같다. 따라서 임장보고서를 쓸 때 해당 지역에 대한 분위기임장 (1주) - 단지임장 & 매물 트레킹 (2주) 의 시간을 목표로 임장 보고서를 쓰는 것을 목표로 해 봐야겠다.


사실 이렇게 더 자세히 듣고 보니 임장보고서에 대한 두려움이 늘어나는게 사실이다. 이런 임장보고서로 내가 앞마당을 늘릴 수 있을까? 이렇게 하다보면 정말 투자처를 보는 눈이 생기는걸까? 그래도 뭐 일단 믿고 해 봐야겠다. 🥹


댓글


통통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