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투 20기 1년 4계절 투자하러 가우리 하하프리] 비교평가_ 아파트의 뼈대를 탄탄하게 세워준 2강 후기!

  • 24.04.16


안녕하세요

지투 20기 14조

하하프리입니다.



이번 강의는

정말이지

기대하고 기대했던



비.교.평.가

에 대한 강의였습니다.





도대체가 어떻게 해야하는건지

헷갈리기만 했던,


배웠던 개념들이 엉성하게 쌓여

언젠간 붕괴될 수 있을 것 같은 형상을 하고 있었던

제 머릿속 개념들을 챡챡! 차곡차곡!

쌓아주신것 같습니다.


"비교평가, 결론, 1등뽑기를 다 알긴아는데

뭔가 희미하고 뒤죽박죽 섞여있고

그 와중에 내가 투자를 하려니까 헷갈리는 거에요"



네.. 딱 저의 상태였습니다_^^






비교평가


비교평가의 기본 원칙은


"뭔가 하나가 고정되어야 나머지 하나늘 비교할 수 있다"는 것.





1등 뽑기의 프로세스는


가치 있는 것 중

가격이 저평가 되어있고

투자금이 적게들고

내가 감당 가능한 것으로


1등을 뽑는건데요.



우리가 헷갈리는 이유는


가치->가격->투자금->리스크

의 순서대로 1등뽑기를 해야하는데



우리는 이 순서들이 오락가락 하기 때문에

더 어렵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가격과 가치를비교하기 전부터

투자금이 고려되고,

리스크가 걱정되고...



이러니 순서를 제대로 밟지 않아 엉켜버려

어려워지는 거겠죠.





우선적으로

<가치>와 <가격>을 비교하는게 선행되어야 합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 '가치' 파악을 잘 해야하는데요.


특히 지방에서는 개별 단지의 선호도를 잘 파악하는게 중요합니다.



임장과 임보를 통해

그 지역의, 그 단지의 제대로 된 가치를 파악하는게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새삼 깨닫습니다.





지역 간 비교


지역간 비교를 하기 위해서는

각 도시별 체급을 아는게 우선되어야 합니다.


인구수와 경제력, 직장과 학군..


이 런 것들이 지역의 체급을 결정하는 요소죠.



네.. 우리가 쓰는 임보가

너무너무 중요한거였네요.




스페인리그와 베트남리그를 비유로 들면서

설명해주시는데


너무 머릿속에 쏙쏙 와닿았습니다.


역시 강의의 들을 땐 재미있고 바로 할 수 있을 것 같죠!!!

예~~~><




강의 후, 시간을 내어 지역간 비교평가를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프도 여러개를 같이 붙이는게 아니라

2개, 쵀대 3개까지만 붙이고!!)




수익률


이번 강의는 너무 좋은 강의였는데

개인적으로는 너무 힘든 강의였습니다(ㅠㅠ)


저의 1호기를 정말 냉정한 시각에서

볼 수 있는,

내가 뭘 빠트렸는지 정말 객관적으로 파악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거든요..



(이렇게 객관적으로 볼 수 있어 감사했습니다.

덕분에 제대로 복기해볼 수 있었네요.)



수익률과 리스크..


다음엔 꼭 더 꼼꼼하게 확인해봐야겠다고

다짐해봅니다.




시세트래킹


능력자 게리롱튜터님!

안그래도 시세트래킹을 하면서


'빈칸을 채우고 있다'는 느낌이

든 적이 많았습니다.


'과연 이렇게 하는게 맞는거겠지?'


.

.

.



이런 마음을 정확히 파악하시고는

시세트래킹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 설명해주시고

방법을 말씀해주십니다.




다시 양식 다운 받아서,

게리롱님이 하시는 거처럼 세로로 정리해서

핸드폰으로도 보고다니면서 단임도 해보고,


주기적으로 앞마당에서도 1등을 뽑아

1page정리도 해보려고 합니다.








어렵게 듣게 된 지투 강의.


너무 좋아서,

사실 다음 번에 광클이 안되면

너무 속상하고.. 이만큼 집중 못할 거 같은데 어쩌지?

라는 생각을 마음 한켠에 가지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안 좋은 걸 지우고 좋은점과 할일만 남겼다.

각 상황들이 가진 장점만 생각하고 그 안에서 할 수 있는 일에

의식적으로 더 집중했다.



는 게리롱님의 이야기를 들으며


혹여 다음번에 듣기 어렵게 되더라도,

매달 앞마당 하나는 무조건 만든다는 목표를 가지고,

내가 해야 하는 일을 꾸준히 해나가야겠다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상황을 탓하지 말고,

그 상황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것들이 무엇인지 생각하고

최선을 다하기.




그렇게 목표를 향한 과정과정을

뿌듯하고 행복하게 해나가야겠습니다.




추천해주신 프레임 책도 읽어보고 싶어졌네요.



같은 상황이어도 내가 어떻게 생각하고 결정할지,

그 상황을 긍정적으로 볼지, 부정적으로 볼지는 내가 선택한다는 말씀


꼭 기억하고,



지금 제 앞에 놓인 상황들에 대해 감사하고,

배울점을 찾고, 방법을 찾아가며

한 단계 더 성장하는 시기로 만들어가야겠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댓글


하하프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