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인 자유를 위해서는 결국 수도권 시장에서의 투자가 필요한 것인데 절대적으로 지켰던 기준이나 공부한 내용들에 대해 의문이 들을 수 있는 시장상황이지만, 변하지 않는 것은 "가치대비 싼것을 산다"라는 명제인것이다. 좋지 않은 시장, 좋지 않은 시장에 대한 그때그때 맞는 대응이 있을뿐, 기준이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시스템 투자"는 하나하나 자산을 꾸준히 모아나가는 것에서 시작되는 만큼, 일단 투자를 하는 것으로 목표를 삼아야 한다. 상황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어 장벽이 되는 여러 요소들이 각기 다른 영향력을 미치겠지만,그것에 대한 해결방법을 찾아가며 경제적 자유에 이르는 투자 로드맵을 구성해야 한다.
BM)
1. 이 모든 과정의 목표는 "투자"임을 잊지 말자. 공부하는 모습을 통해 자기개발을 열심히 한다는 만족감에 취하지 말고, 실질적인 투자가 없으면 이 과정의 의미가 없음을 알자.
(2) 현재 수도권 부동산 시장 진단
수도권을 임장하고 임보를 쓸 때 단순히 지역에 대한 단편적인 정보에 너무 디테일을 쏟거나 그 주위를 함께 보며 거시적인 시야와 관점에서 유기적인 관계로 이해와 분석을 해야하는 것의 어려움을 겪었는데, 스스로 시장을 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과 역량이 무엇인지를 알게 되는 부분이었다.
또한 부동산은 사람들의 삶과 직접적 연결이 되는 요소인만큼 그것에 직접*간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정책에 대한 올바른 해석과 시행단계, 그 정책이 몰고올 결과들에 대한 대응을 미리 고려하는 것의 능력개발이 필수적임을 다시금 깨닫게되었다. 경제뉴스에 대해 어떤 해석을 내려야하는지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는 만큼 그 부분에 대한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매일 루틴화 시킬 수 있는 행동들이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BM)
1. 시장에 대해 거시적으로 시야를 넓히고 관점을 가지기.경제 뉴스 꾸준히!
2. zoom out-> zoom in 의 구조적 체계성 갖추기( 너무 나무만 보지 말고 숲을 볼 수 있도록 하기)
(3) 수도권의 가치와 가격
서울과 경기도를 구별로 쪼개어 각 구별 가격과 순위, 위상 파악을 통해 전체적인 관점에서 수도권을 한번 쭉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었다. 또한 지역별로 과거의 가치와 현재의 가치 변화에 대해 알게 되면서 급지별 정리가 되며 위상파악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알게되었다.
그 지역이 가지는 수도권에서의 위치파악이 되어야지 같은 가격이라도 더 좋은 것을 골라내며 수익률을 높힐 수 있다. 그것은 결국 앞마당을 많이 만들어서 그들끼리의 비교를 통해 위상정리를 해야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