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스커뮤니티
오리지널오리지널 정규부동산 기초소액 투자내집마련지역 분석실전 임장임장 보고서
부동산부동산 입문경매/공매청약/재개발세금/대출
재테크/주식주식/코인창업/부업재테크기초자기계발
코칭투자코칭매물코칭
돈 버는 독서 모임돈 버는 독서 모임

미스터윤

레벨

23
팔로워
194
작성한 글
27
댓글
7
배지
소개작성 및 활동팔로우
작성한 글
194
댓글단 글
26
저장한 글
4
배지
7
수강후기
미스터윤

열반스쿨 중급반 2강 강의 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41기 34조 미스터윤]

이번 열중반 2주차 강의 양파링님 강의의 핵심은, 개인적으로 생각했을 때 “시장이 어려워졌을 경우, 여러분은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에 대한 여러 가지 대비책 모음집이라고 요약할 수 있겠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다양한 세입자의 유형이었습니다. 정말 생소하게 느껴졌던 개인이 아닌 법인 단위의 임차인이라든가 추후 전세보증금의 일부 혹은 전부를

24.11.19|조회수 23
23
수강후기
미스터윤

죄송하지만 힘들어서 징징대 봅니다 : 실전준비반 2강 강의 후기 [실전준비반 61기 55조 미스터윤]

지금까지 들었던 월부 강의 중 처음으로 보는 내내 숨이 턱턱 막혔던 강의였습니다… 아, 오해하지 마세요! 강의 내용이 별로였다는 뜻이 아닙니다. 10월 개인적인 자영업 일정의 압박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밤샘을 하며 들은 탓도 있겠지만, 1개의 제대로 된 투자를 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과정이 이렇게나 많고, 이렇게나 디테일했다니… 인구는 단순히 인구수만 알아

24.10.15|조회수 22
04
아파트분석
미스터윤

봉천동 관악현대아파트 수익률 분석 보고서 [열반스쿨 기초반 80기 107조 미스터윤]

<환금성>을 어떻게 판단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댓글로 알려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현재 살고 있는 곳이 동작구고, 1년여전 옆동네인 관악구에 살았어서 익숙한 동네의 아파트를 무작위로 선정해 분석해 보았습니다.

24.09.18|조회수 36
02
수강후기
다스다스

열반스쿨 기초반 1강 강의 후기 [열기스쿨 기초반 80기 107억 부자들 다스다스]

노후 준비 해법 필요한 노후 자금, 돈을 벌 수 있는 시기 등 현실적인 상황을 고민해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내가 생각하는 노후를 위해서는 굉장히 많은 자금이 필요하다는 게 꽤나 충격적이었다. 더불어 내 주변의 부자를 찾고, 그 사람이 어떻게 부자가 되었는지 자세히 관찰하며 벤치마킹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한 번에 모든 것을 따라

24.09.09|조회수 25
26
비전보드
다스다스

다스다스의 비전보드 [열반스쿨 기초반 80기 107억 부자들 다스다스]

안녕하세요! 107조 다스다스입니다. 1주차 강의 내용과 제가 생각하는 미래를 그려보며 비전보드를 작성해보았습니다 :) 확실히 작성해보니 지금 제가 어떤 상황인지, 어떤 일들을 우선적으로 해야 하는지 눈에 보여서 좋은 것 같습니다. 너바나님께서 지금껏 하루도 빠짐없이 목실감을 작성하신 것처럼, 저도 비전보드에 작성한 목표들을 꾸준히 해나갈 수 있도록 노력해

24.09.08|조회수 54
23
비전보드
두마베

두마베의 비전보드 [열반스쿨 기초반 80기 107억 부자들 두마베]

24.09.08|조회수 22
02
수강후기
두마베

열반스쿨 기초반 1강 강의 후기 [열기스쿨 기초반 80기 107억 부자들 두마베]

안녕하세요 Do my best! 두마베 입니다. 작년 12월 열기를 첫수강하고 9개월가량 만에 재수강을 하게 되었는데요, 분명 내용이 같은데도 생각이 드는 포인트가 다르고 새로 벤치마킹하고자 하는 사항이 생기는 것을 보니 그래도 9개월을 마냥 허투루 보내진 않았구나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작년에 들으며 그래 24년 내에 1호기 해야지! 하는 단기목표가 있

24.09.08|조회수 39
16
수강후기
미스터윤

열반스쿨 기초반 1강 강의 후기 [열반80기 107조 : 107억 부자들 미스터윤]

느낀점 “NOT A but B” 잘못된 A를 반성하고, 진리인 B를 깨닫고 실천해 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한 근본 태도임을 알았습니다. 일단 제가 잘못 알고 있었던 A는 무엇이었는지 생각해 보니, “자본주의에서 먹고 살려면 근로로 끝까지 버텨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사실 이 생각을 흔들림 없이 지지하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어느 정도 자본소득의 중요성을 인지

24.09.06|조회수 103
15
  • 1
  • 2
상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