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문
등기부등본을 무조건 믿지 말라는 것에 조언 부탁드립니다.
너나위님 강의 때도 말씀하셨지만, 등기부등본을 무조건 믿지 말라는 이야기가 꽤 많은데요. 만약, 전 집주인이 작정하고 문서를 위조해서 근저당을 말소했다고 하는 경우 원래는 말소되지 않아 현 집주인이 피해를 보는 경우 (이럴 때 은행에 등기부등본 가져가서 조사해 달라고 하면 은행에서 확인이 가능할까요) 그리고 문서 위조로 사기결혼한 뒤 남편 사망시킨 후 그
부개역 코오롱 하늘채 아파트 임장 후기
인천에 아파트를 알아보는 도중 [부개역 코오롱 하늘채] 아파트 임장을 다녀왔습니다. 제가 쓴 글은 지극히 [저의 개인적인 생각을 반영한 것이므로 참고용으로 이해 부탁드립니다] ▶ 부개역 느낌 - 부개역과 부평역은 1정거장 차이이지만 그 느낌은 매우 달랐습니다. 젊은층이 많고 활기가 넘치는 부평역과 달리 부개역은 매우 조용하고 많은 상권이 형성되어 있지는 않
내집마련을 함께 응원하는 사람들.
개인사정이 있어 마지막주 조모임은 참석하지 못했지만, 함께 하나의 꿈을 준비하시는 저희 조원분들이 내집마련이라는 꿈을 모두 이루시길 희망합니다. 중간 중간 좋은 정보도 보내주시고 정말 알찬 시간이었습니다. 저도 그 기운을 받아 좋은 집! 그리고 제대로 된 준비를 할 수 있게 된 것 같습니다. 모두들 파이팅하시고 내집마련 꼭 성공하시길! 저도 마찬가지고요!
너나위님의 진심이 완전 와닿은 강의
내집마련을 하면서 한편으로는 현실에 부딪혔고, 한편으로는 커다란 벽이 느껴지기도 했습니다. 왜 이정도밖에 모으지 못했을까… 왜 이렇게까지 집값은 비싼걸까.. 내가 과연 할 수 있을까… 큰 부담이 느껴질 정도로 힘든 적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내집마련은 반드시 해야하는 것. 주거의 안정이야 말로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 큰 버팀목이 된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달
물가상승률에 대비하여 내집마련이 더욱 절실한 이유
내마기를 수강하면서 인플레이션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까지 함께 습득하는 것 같습니다. 내집마련을 위한 종자돈을 모으기 위해 개인 소비는 지극히 아끼고 있는데요. 최근 임장을 마치고 허기진 배를 채우고자 김밥집에서 김밥을 먹었습니다. (임장을 하다보면 엄청 걷기 때문에 배가 너무 고팠습니다..) 이젠 김밥 한줄에 3500~4000원 시대.. 2줄이면 1만원
[54기 61조] 다같이 해서 즐거웠던 2강 분위기 임장 과제 후기
2주차 조모임은 다함께 분위기 임장을 했습니다. 부평구청역 1번 출구에 내려 약 9군데 아파트 분위기 임장을 했습니다. 2강 강의를 전체적으로 듣고 임장을 하여 확실히 도움되었던 부분은 [학군, 상권, 역세권, 입지]이 전체적인 부분을 고려하여 아파트를 탐색한 부분입니다. 같은 조원분 중에서는 이미 내집마련을 하신 분도 계시고 저처럼 첫 도전을 시작하시는
[내마기 2강 임장 후기] 부평두산위브더파크
과제 제목은 후보 단지 중 [내집마련 후보 단지 이름+ 내집마련 임장 후기]을 넣어서 작성해주세요 (제목 예시 : 고덕 래미안 힐스테이트 내집마련 임장 후기) 1. 후보단지 입지표 정리 2주차에 배운 내집마련 기준에 맞춰 후보 단지를 입지표로 한눈에 정리해봅시다. 단지 입지요소끼리 서로 비교해서 순위를 매겨보세요. *내집마련 기초반 2주차 교재 다운로드에서
[54기 61조] 2주차 조모임 인증샷
[내마기 2강 후기] 아낌없이 내어주는 자모님의 강의!
자모님의 강의 솔직히 놀랬습니다. 어떻게 저리 쏙쏙 들어오게 말씀을 하실지! 그리고 자모님도 1,500만원으로 시작해 순자산 10억까지 일구기까지 엄청난 고난이 있으셨다는 것을.. 2강에서 가장 핵심적으로 깨달은건 “내가 그동안 분석했던 아파트를 샀으면 정말 큰일날 뻔했구나”였습니다. 입지분석의 중요성 그리고 강남까지의 이동 시간이 어마무시하게 중요하다는
부평 1인가구 구축 24평 VS 18평 신축 어떤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내집마련 기초반을 수강하고 있는 수강생입니다! 계속 고민이 되고 있는게 3억으로 부평에 아파트를 마련하려고 합니다. 1인가구고 향후에도 결혼 계획은 없는 실정입니다. 때문에 큰 평수보다는 18평 or 24평을 고려하고 있는데요 3억으로는 대부분 구축 24평 or 신축18평이었습니다.(공급면적 기준) 향후 가치 판단으로 어떤게 더 나을지 많은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