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방기초반 1주차 강의 후기 [라이프스케줄]

  • 24.05.13



나에게 특히 와닿았던 점


- 초저출생인데 지방투자를 해도 되나, 투자 관점에서 어떻게 해석하면 좋을지 고민했었다. 역사적으로 하락 시기에 저출산 얘기가 나왔다는 말씀이 와 닿았다. 사람들이 선호하는 물건을 선별하는 데 더 집중을 해야겠다. 뇌피셜을 그대로 두지 말고, 특정 매물을 찾아서 그 가격 히스토리를 보라고 하신 말씀이 좋았다. 팩트를 보자!

- A지역의 지역분석을 들으면서 두려움도 생겼다. 투자했는데, 점차 시간이 지나고 다른 동이 개발되면서 그 중심이 옮겨지면 어쩌지, 하는 생각이 들었다. 투자할 지역이 정말 '앞마당' 처럼 내게 익숙하고 자연스러운 장소가 될 때까지 충분히 공부하고 행동으로 옮겨야겠다. 도시 기본계획에서 약 10여년 계획을 미리 세우니까 제대로 내가 읽고 배우고 투자해야지.

-영등포구 백화점보다 부산과 대구의 백화점 매출액이 더 높았던 것이 인상 깊다. 심지어 top 10 안에 3곳이나 차지한다는 것을 보고,내가 지방에 대해서 한참 잘못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는 생각을 했다.



적용해보고 싶은 점

-중소도시는 광역시에 비해 입지독점성이 낮다 = 땅의 가치가 낮다

중소도시와 A지역 단지를 하나도 몰라서 위의 말이 하나도 안 와 닿았다. 임장을 가보고 내 눈에 이곳이 익으면 좀 다르게 와 닿을 것 같다. 문장을 킵해놓고 다시 봐야겠다.

내가 이번 달 임장지로 정한 청주는 중소도시 범주에 들어가니까 예로 들면, ㅇㅇ구에 분양예정인 아파트들과 ㅇㅇ구 대장 아파트들을 비교 한다면, 전반적으로 비교요소들 중에 연식을 중요치를 둬서 고려해야 한다....?


댓글


라이프스케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