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제주바다님의 강의 후기 남깁니다.
열정을 다한 강의로 보는 내내 집중하게 되었습니다.
대전을 직접 밟아보고 경험한 사항들이 녹아있어,
갈피를 못잡고 있는 저에게 투자의 방향을 잡아주는 강의라고 생각합니다
[광역시의 투자범위를 좀 더 명확히 정리!]
-본 것 :
지방 광역시와 중소도시에서 투자방향을 잡을 때,
광역시는 선호~비선호, 중소도시는 평균이상 선호도를 감안한다.
그리고 구조, 평수, 가격대로 투자하면 안될 범위를 알려주심.
-깨달은 것:
광역시와 중소도시에서 환금성 측면에서 피해야할 마지노선이
있구나라는 것을 깨달음
-적용할 것
투자할 후보군을 추려낼 때, 내가 혹시 환금성기준에 맞지 않는
단지들을 보고 있는지 적용해보고 미리 추리자.
[지방투자의 핵심]
-본 것 : 인구, 입지, 상품성의 의미
-깨달은 것 :
지방투자에서 광역시/중소도시별로
입지와 상품성(연식)에 대한 비중이 다르고,
또 지역별로 가중치가 다르다.
신축이 많이 들어올 때 구축이 받는 영향도도 다르다.
-적용할 것 :
내가 임장하는 지역의 입지 가치가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항상 생각하자,
그리고 지역별/생활권별로 신축의 비중을 보고,
신축 공급이 미치는 영향을 생각하자
(신축 비중이 많은 곳에서의 신축/구축 의미,
구축이 많은 곳에서 신축/구축 의미)
[공급에 대한 생각]
-본 것: 공급이 끝날 쯔음이면 이미 달궈지는 장
-깨달은 것:
공급이 부족할 때가 기회라 생각했으나,
실제 기회는 공급이 많을 때
'만들 수 있는' 물건이 많겠구나!
신축 입주 전에 사람들은 기존 물건을 팔고싶어한다.
-적용할 것:
공급많다고 제껴두지말고,
보다 적극적으로 임장하고 트레킹하고
매물임장하면서 만들 수 있는 물건을 만들어가자.
특히 대전 분석에 들어가면서
더 많은 것을 배웠지만,
구체적인 내용들이 많아서
우선은 크게 위 3가지 본깨적을 남깁니다.
다음 강의도 기대가 됩니다!!
댓글
문포오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