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중급반 - 직장인으로 10억 달성하는 법
월부멘토, 밥잘사주는부자마눌,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특히 와닿았던 내용
투자하는 직장인? 직장인 투자자?
궁극적인 목표가 무엇인지 묻는 질문인 것 같은데,
굉장히 신선하게 느껴진 부분이다.
부동산 공부와 실전에 앞서 부동산 투자를 대하는 태도를 명확히 하고,
어느 정도의 시간을 투자해야 할 지 결정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미리 고민해볼 수 있는 대목이었다.
투자 지역 선정
수도권 투자와 지방 투자의 본질과 장점, 리스크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을 들을 수 있었다.
이 강의를 듣기 전까지 난 부동산 투자는 무조건 내가 잘 아는 곳,
그리고 내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 해야 하는 거라 생각했다.
강의를 통해 현재 보유한 투자금과 지속가능한 연간 저축액,
부동산 투자 공부와 실전에 할애할 수 있는 시간을 모두 고려하여
투자처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기준에 대해 정리하고,
나에게는 지방투자와 수도권 투자 중 어떤 것이 적합한지 고민해볼 수 있어 굉장히 의미있었다.
나에게는 생소하게 느껴졌던 지방 투자도 굉장히 매력적이라는 생각이 들었지만,
더 고민해서 나만의 기준을 정하고, 수도권과 지방 중 목표로 삼은 카테고리의
잃지 않는 투자를 하는 방법에 대해 지속적으로 공부해봐야겠다.
잃지 않는 투자법
-수도권 투자-
1.입지독점성 높은 곳(강남 또는 주요 업무지구 1시간 이내),
2.전세가율 높은 곳(50%부터 보기)
3.저평가된 곳(전고점 대비 -20%)
-지방투자-
1.인구수 많은 곳(50만명 이상)
2.전세가율 높은 곳(60%부터 보기)
3.입주물량 적은 곳(향후 2년까지 고려)
저평가, 입지독점성, 전세가율 등 추상적으로만 알고 있던 개념에 대해
구체적인 수치를 기반으로 설명해주셔서 바로 이해할 수 있었다.
현재 보유금과 앞으로 저축 가능한 금액을 고려하여
내가 실제 투자하고자 하는 목표 시점에 보유 예정인 투자금 규모에 따른
급지 범위에 대한 설명도 있어서 목표 설정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적용해보고 싶은 점
지방투자? 수도권투자?
단기적으로 투자금 규모를 키울 수 있다는 점에서 지방 투자도 매력적이라고 느꼈다.
현실적으로 매주 투자 가능한 시간을 고려하여
투자 목표 시점과 투자금 규모를 정하고,
구체적인 투자 플랜을 세워보고자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