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현재 임장중인 지역을 주제로 한 강의라 몰입도가 좋았던 것도 사실이지만,
일목요연하고 똑소리 나는 식빵파파님의 강의를 통해 머릿속에서 어지럽게 돌아다니던 여러가지 정보들이 깔끔하게 정리되는 기분이었다.
알아야 하는 것을 컴팩트하게 보고 투자랑 연결시켜라.
이번에는 지역에 대한 분석을 하면서 인구이동과 직장 파트가 잘 풀리지 않아서 이 부분을 너무 오래 붙잡고 있었다. 붙잡고 있었던 시간만큼 많은 답을 얻지도 못했던 터라 이 부분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
그런데 이번 강의에서 입지 분석을 할 때 너무 깊게 파고들지 말고, 알아야 할 것을 컴팩트하게 보되 '내 투자에 의미가 있구나!' 라고 정리하고 투자와 연결시키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는 말씀을 듣고 나니 내가 더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앞으로는 투자자의 마인드로 정보를 유연하게 분석, 적용시키는 연습을 해야겠다.
GRDP/GRNI
이번 지역 분석에서 소득 대비 일자리의 질이 좋지 않아 궁금증이 풀리지 않았던 파트였다.
이 지역은 주변 지역과 영향을 아주 많이 주고 받는 지역이기 때문에 그 지역 일자리 위상만 봐서 될 것이 아니라, GRDP(지역내 총생산)와 GRNI(GRDP+외부소득)을 같이 봐야 한다는 것, 그리고 지역 내 어떤 직군의 종사자 수가 많은지에 대한 조사를 통해 풀어가면 된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다. 이렇게 분석하는 방법을 배우는 과정이 어렵긴 해도 재미있었고, 다음 지역 분석때는 조금 더 시야를 넓혀서 볼 수 있을 것 같다.
공급
지방은 공급이 더 중요하고 공급 분석을 잘 하면 투자 기회를 볼 수 있고 그에 따른 전략을 짤 수 있다.
공급이 줄어들고 있긴 한데 잘 모르겠다 싶을 땐 과거 복기를 통해 어떤 흐름에 어떤 투자 기회가 있었는지 찾아보고 현 상황과 비교해 볼 것!
단 모든 지역에서 공급 분석만으로 투자 타이밍 잡는 것은 아니라는 것도 유념해야 하겠다.
지역 내 투자 전략
각 지역이 가지는 특정 선호도에 대한 파악을 통해 더 버는 투자 전략을 짠다.
절대적으로 싼 시장이더라도 투자 전략이 있어야 더 벌 수 있는 투자를 할 수 있으며, 이는 지역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지역별 핵심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이 관건!
그 지역에 살아본 사람이 아니면 쉽게 파악할 수 없는 요소인 것 같아 어렵지만 막상 입지분석을 하고 가격을 입혀보고 임장을 하다 보니, 이 지역 사람들이 어떤 것을 선호하는지 자연스럽게 가닥이 잡혀가는 느낌이었다.
투자를 결정하기 이전에 같은 조건이라 헷갈리는 경우, 지역 내 핵심 요소를 바탕으로 생각해 보면 훨씬 더 심플해지고, + 더 버는 투자를 할 수 있다!
강의를 듣는 내내 식빵파파님처럼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게 정리되는, 하지만 임팩트 있는' 분석을 닮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멋진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지금 할 수 없는 것보다 할 수 있는 것들에 집중하면서 원하는 목표에 다가갈 수 있게!!
공급 특강 들어야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