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한 번에 두 가지 일에 주의를 기울일 수는 있지만 그런 경우 집중력이 나뉠 수밖에 없다
한 번에 두 가지 일을 하면 집중력이 분산된다.
세 가지 일을 하면 그중 하나는 완전히 망치게 될 것이다.
한 번에 두 가지 일에 집중할 때 어느 한 가지 작업이 더 많은 집중력을 요구하거나, 이미 사용 중인 두뇌 통로와 상충될 때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한 마디로 한 번에 두 가지 일에 효과적으로 집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말이다.
멀티태스킹은 우리의 두뇌를 어떻게 합선시킬까?
내가 수시로 인식해야 할 점>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는 두뇌 용량은 한계가 있다, 다른 작업으로 전환하는 데 시간을 보낼수록 처음 작업으로 돌아갈 가능성은 낮아진다. 마무리 짓지 못한 일이 쌓인다.
만성적 멀티태스킹은 ㄷ어떤 일을 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예측하는 감각이 떨어진다.
여러 매체를 한 번에 보려는 멀티태스커들은 실제 도파민이 분지되어 짜릿함을 느끼고, 이는 중독성이 있다고 한다.
자극이 사라지면 금세 지루함을 느낀다. 이유가 어찌 됐건 결과는 명확하다. 멀티태스킹은 업무 속도를 늦추고 우리를 바보로 만든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 황농문 교수님의 <몰입>이 생각났다.
멀티태스킹은 몰입을 방해하고 몰입상태에 돌입할 때 우리는 집중력을 되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몰입을 통해 얻는 쾌락은 도파민과의 몰입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했는데 이 부분이 원씽의 내용과도 연결되는 것 같다.
사람들은 살아가면서 매일 무수한 문제들을 접하고 해결하면서 산다.
아이와의 문제만 나열해봐도 등하원 픽업 , 갑자기 아프면 입원 치료 문제, ..
학교에 들어가면 학습 문제, 친구 문제..
학원 선택의 문제, 가족의 00 문제, 친척의 문제,
부모님께서 아프시기라도 하면 치료비용의 문제 등으로 병원과 보험 알아봐드리고 병원 픽업은 누가 할 것인지,
주거의 상황만해도 전월세 매매여도 이사문제, 이사를 갈 것인지 말 것인지, 어디로 이사를 갈 것인지의 문제, 보증금 올려줘야 하는 문제, 이자문제, 대출문제 .....
인간은 끊임없이 문제와_해결 과정을 반복한다.
그리하여 이 모든 것에는 우선순위가 필요하다.
궁극적 단 하나의 원씽이 아닌. 단기적으로 하나하나 해결한다면?
끝도 없는 에너지와 시간투자로 삶을 소비하게 된다.
문제 한 개 해결하면 또 다른 문제가 나오는데 삶의 대부분을 써버리는 우리들입니다.
결국, 원씽.!
리더의 시간관리, 가장의 사간관리, 부모의 시간관리, 주인의식으로서 시간관리는 어쩌면 '필수불가결'이라는 생각으로 원씽을 정리해본다.
눈앞에 목적이 가치없다는 것이 아니라 우선순위가 무엇인지 판단하지 못한다는 의미.
계획을 세우는 건 미래를 현재로 가져오는 일이다. 지금 당장 미래를 위해 무슨 일이라도 할 수 있도록.
앨런 라킨 (미국의 시간관리 전문가)
댓글
치투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