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열중 1강,2강 강의후기[열중 37기 59조 오늘내린눈]

  • 24.05.23

지난 달 실준반 강의를 듣고 틈틈이 조각난 임보들을 작성하며 장표구성에 대해 쌓아왔던 이런 저런 의문들에 대해 싹 정리할 수 있었던 강의여서 매우 만족스럽고 감사했습니다.


이쪽 저쪽으로 고민하며 튀는 마음을 워워 하고 진정시켜서 자꾸 기본으로 한번 더 기본으로 돌아와 바른 길을 걸을 수 있도록 코칭을 해주시는 강의였다고 생각 듭니다.


-단지의 지난 평균전세가율을 왜 알아야할까? :기계적으로 00퍼센트 이상이면 절대적 상대적 저평가라고 이야기할 수 없고 해당 지역의 급지, 해당 단지의 생활권으로서의 순위, 개별단지 튿성에 따라 어느정도 전세가율이 투자적정전세가율인지를 가늠해보기 위함.


-구별 평형별 평당가를 매달 파악하는게 얼마나 의미가 있을까?

:구별 가격대 수준(밴드)를 대략적으로 파악하여 순위에 대한 감을 가지기 위함. 시장의 전체적인 동향을 느끼기 위함. 해당 구내에서 개별 단지의 가격 위치를 알기 위함.


-초보 단지분석장표 구성에 들어가야 하는 내용과 의미가 무엇일까?

:현장에서 알아낸 것(현장에서만 알 수 있는 것을 수고해서 알아낸 내용을 임보안에 남긴다) +현재시점 투자가능여부와 미래에 투자가능 범위 가늠의 내용


-내 상황에서 가능한 플랜을 무엇으로 설정해야 할까?

: 현재 가족과 노원 30평대 실거주 환경이 만족스러우므로 애매한 지역 30평대 실거주 이동 오히려 별로고 급지높여 20평대 이동하는것 실생활 여건 너무 떨어져 고통스러울 것으로 판단. 투자금도 무리됨. 실거주 이동은 단순히 투자에 대한 목표나 욕심만으로 할 것이 아니고 가족들의 중장기 생활 편의를 만족시킬수 있는 방향으로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함.

그렇기에 더욱더 가족의 돈과 엮어서 하는 투자도 지양할 필요가 있다는 현재적 결론.


-가용 투자금의 범위를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

: 투자금 범위 안이 안 들어오는 지역에 미련을 갖지 말고 되는 지역을 잘 스캔하여 현실성을 높여가야 함. 백투더 기본. 저환수원리를 깊이 이해하고 정직하게 원칙에 맞게 계획하고 단정한 마음으로 꾸준히 가야 망하지 않을 수 있다. (역전세는 9천도 1억도 날 수 있다.)


-트래킹 단지 선정과 1등뽑기 방법은? 실준에서 배운 모추뽑결을 바탕으로 염두에 두고 분임

단임. 그리고 결론에서고 활용한다.

비교평가를 위해서는 연식과 평형을 맞추고 그 외의 사항만 비교한다.


-임보의 투자 결론부를 어떻게 마무리지어야 할까? 미래에 투자가능성이 있는 단지를 남겨두고 그 단지가 투자금 범위 안에 들어오는지를 민감하게 트랙킹한다.


-다음 임장지를 어떻게 선택할까?

:밥잘님의 현재 구별평당가 표와 현재 투자가능 예시단지를 참고하며 가치가 있고 투자금이 맞는 지역을 우선적으로 확인


서울 수도권에서도 비교적 하급지라면 하급지내 하급생활권의 투자가치는 애매할 수 있다.=저평가가 아닌 저가치일 수 있으므로 신중히 파악하거나 아예 윗급지 하위생활권 또는 해당지역내 상위생활권으로 시선을 옮기는 것을 생각해 볼것.


저환수원리를 깊이 이해하고 뼈에 새길것


저평가 판단의 전제는 '가치가 있는 물건이' 이다.


결국은 앞마당 싸움으로 앞마당을 정직하게 만들고, 투자자의 바른 태도를 고수하며 살아남아있으면 어떤시장 어떤 상황에서든 기회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천천히 정직하게 꾸준히 그는 것이 가장 빨리 가는 방법이다.


나의 임계점을 돌파하면(cf.200ㅡ200클럽 도전처럼) 캐파가 넓어진다.



댓글


오늘내린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