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중37기 16조 단유나]'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 독서후기(#4/10)

  • 24.05.26




월급쟁이부자들 독서스터디 :: 후기


안녕하세요 단단하지만 유연한 삶을 꿈꾸는 단유나입니다.

열중 3주차 필독서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 독서 후기.

월부은 리뉴얼 된 책으로 재독했는데,

읽으면 읽으수록 자기계발서가 아닌 실직적인 투자관점이 많이 담긴 책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책에서 다 알려줬지만 행동하지 않았던 나를 돌아 보았습니다.

열중 2주차에 게리롱 튜터님의 강의내용도

책에 많이 담겨 있어서 복습하는 느낌도 물씬 나서

빠른 속도로 재밌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

저자 및 출판사 : 너나위

읽은 날짜 : 24.05.26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10점


내용 및 줄거리

1장 왜 투자를 해야 하는가

#자본주의

p36 사람들이 종종 잊는 것 같은데, 아파트도 물건이다. 앞서 말했듯 물건은 각격으로 표현되고 그 가격은 인플레이션, 즉 물가상승이라는 원인으로 꾸준히 상승한다.

p64-65 내가 생각하는 투자의 첫번째 목적은 바로 '노후준비'다. 지금 행동하지 않으면 미래의 위기를 피할 수 없다고 보는 것이 현실적이다.

->내가 투자하려고 하는 why. 노후준비가 1순위다. 자본주위에서 투자는 선택이아닌 필수다.


2장 당신과 돈이 가야 할 방향

#레버리지

p93 투자를 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은, 그 투자로 얻을 수 있는 수익이 인플레이션을 상쇄하는 수준인가 하는 것.

p95 부동산을 택한 이유는 '정보 대칭'과 '레버리지' 때문이다.

p102 이 과정에 들어가는 노력은 이자 비용 없이 돈을 빌려 적은돈으로 큰 자산을 사들이는데 따르는 대가이다.

->너나위님이 부동산투자를 선택한 이유. 인플레이션 헷지를 위한 투자를 해야겠다. 두번째는 레버리지. 임차인이 무이자로 돈을 레버리지해서 큰 자산을 소유한다. 이 모든과정의 노력은 무이자에 대한 대가이다.


3장 평범한 직장인도 얻을 수 있는 성과

#투자사례

3-1 의왕시 25평 아파트 : 내손동 E아파트는 평촌 신도시의 입지와 인프라를 공유, 신축아파트

p112 투자를 고려할 땐 입지를 우선순위로 보고, 그다음으로 신축인지 구축인지를 따져보는 것이 현명하다.

p122 내가 투자를 결정할 때 첫번째 기준으로 삼는 것은 '해당 물건이 현재 저평가된 상태냐 아니냐' 하는것. 이것이 '잃지 않는 투자'의 선결조건이다.


3-2 분당 21평 아파트 : 가격이 비슷한 광명시 철산동 P아파트와 비교평가.(입지 : 분당>광명)

p132 비교 대상이 많을수록 물건의 가치 판단은 정교해 질 수 밖에 없다.

p133 부동산은 발로 하는 것.

p140 부동산 10채를 마련하기까지는 최대한의 경험을 해보려고 애썼다. '잃지 않는 선에서 경험쌓기'


3-3 수지 32평 아파트 : 시세트래킹. 입주물량. 갭메우기

p151 입주 물량이 많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무조건 투자를 미루지 않는다. 나에게 최우선 투자 기준은 저평가 여부이기 때문이다.

p161 잃지 않는 부동산 투자를 하고 싶다면, 첫째 부동산의 저평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안목, 둘째 적은 투자금으로 투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기술. 셋째는 역전세 등에 대비하여 내 자산을 방어 할 수 있는 자금 원동력.

->싸.투.감!!

p161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가치 대비 싼 가격의 물건을 사서 그것이 스스로 제 가치를 찾아가는 시기까지 즐겁게 생활하며 기다리는 투자를 한다.


3-4 평촌 21평 아파트 : 1기신도시, 공급물량

p168 어떠하든, 평촌은 입지 측면에서 수도권에서도 사람들의 선호도가 높은 지역이다. 전세 임차인을 구하기 어렵다는 리스크만 감당할 수 있다면, 좋은 가격에 물건을 잡을 수 있는 기회.


4장 성공 투자를 위한 필수 지식

#시스템투자

p201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유지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당장 얼마 되지 않는 월세 수익보다는 장기적으로 볼 때 절대적인 자산의 규모를 키우는 것이 현명한 방향이다.

p206 좋은 투자란 사는 순간 버는 것이다. 가치보다 싸게 샀기에 안전마진까지 확보한 상태라 잃지 않는 것.

->살 때가 가장 중요하다. 가치대비 싼것을 산다면 우리는 버는 투자를 한 것이다.

p215 첫째, 여러지역의 물건과 비교해 본 결과, 저평가된 것이 확실한가?

둘째, 전세가율이 높아 투자금이 적게 들어가며, 건당 리스크는 작은 물건인가?

p221 원하는 은퇴시점을 전후로, 축적된 자산을 현금흐름화 하거나 매도해 시세차익을 얻는다.

->부동산의 투자는 시세차익에 있다.

p223 부동산 투자는 결국 시간에 투자하는 것이다.

p225 기본적으로 투자금 자체가 적다면 한가지 사실은 인정해야 한다. 바로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p227 시스템이란 '다주택'을 의미. 나는 적은 투자금으로 살 수 있는 저평가된 아파트를 매입한 후 팔지 않고 장기 보유하면서, 여러 채를 모으는 방식으로 투자를 진행해 왔다(10년이상을 바라봐라)

p230 비교적 입지가 우수한데도 가격 자체는 그리 높지 않은 아파트를 위주로 투자하게 되었다. 가격대가 낮은 만큼 상대적으로 변동성도 그만큼 덜하기 때문이다

->시스템투자는 적은 돈을 투자한 대신 시간이 걸린다. 시간에 투자한 것. 장기보유할 것. 조금함을 버리고 10년이상을 볼 것.

똘똘한 한채보다 시스템투자는 가격대를 낮은 만큼 변동성이 적다(상대적으로 안정)

p237 은퇴로 근로소득은 사라지겠지만, 전세금 상승분을 모아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하는 방식, 매도하여 목돈을 마련하는 것.

->은퇴시점에서 현금화 시키는 방법은 월세전환과 매도.

p238 특정지역 한 곳이나 한 아파트 단지에 이른바 '몰빵' 투자를 한 경우가 아니라면, 전국에 고르게 투자해 보유하게 된 모든 주택의 전세가가 동시에 하락하는 일은 거의 없다.

->지역을 분산해서 투자해야하는 이유. 역전세 리스크를 줄여준다.


5장 누구나 따라 할 수 있는 투자 메뉴얼

#투자기준

p257 첫째, 저평가된 상태인가? 둘째, 투자금이 적게 드는가? 셋째, 리스크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인가

->싸.투.감

p267 엄청나게 많은 수요가 몰린다고 해도 완성품을 즉시 공급할 수 없는 재화. 늘어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공급이 이뤄지는데 꽤 시간이 소요.

p273 수요가 많을 때 입주가 아닌 분양을 한다. 이 시차가 수급 불균형과 가격의 등락을 일으키는 핵심요인.

->수요와 공급에 의해 가격이 결정되지만 아파트 특성상 수요와 공급의 시기가 맞아떨어지지 않는다. 공급한다고 아파트가 딱 나오는게 아니다.

p274 지역선정의 기준과 순서 1.전세가율과 가격 2.투자금 3.입주물량 4.미분양

p308 노하우와 기술보다 중요한 건 다름 아닌'태도'

p312 가격 협상에서 매수자의 협상력보다 중요한 것은, 매수시점의 시장분위기다.

->협상도 중요하지만 시장분위기가 가장 크다. 매수우위인가 매도우위인가.

p315 임대를 결정짓는 네가지 요인 1.가격 2.집의 상태 3.입주시기 4.사람


6장 당신의 돈 그릇을 키우고 싶다면

#돈그릇

p328 불가능한 일에 에너지를 낭비하기보다 현실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해야 한다.

p331 아는 것에서 멈추지 말고 반드시 이를 실행에 옮겨라.

p333 '될 때까지 한다'

p334 잘 준비하고 꾸준히 투자한다면, 지금은 저만치 앞서가는 것처럼 보이는 이들도 결국 한 지점에서 만날 수 있다.

p351 좋은 투자자가 되겠다는 목표를 달성하려면, 반드시 투자에 필요한 절대시간을 확보해야 한다. 단순히 개인의 의지와 열정으로 부딪치려고 하지 말고, 우선순위를 정한 후 이를 충실히 따르는 것이 현명하다.

p356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내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고민하는 프로의 태도

p358 어차피 투자는 평생 해나갈 일이다

p369 당신이 '아는 것'에 그치지 말고 '행동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긴호흡으로, 차근차근, 하나하나 시작하자.

->부동산 지식을 늘리는 것이 아닌 내가 목표하고 하는 부를 얻기 위해 행동하는 사람이 되자.


NEW 기회는 오늘도 새롭게 탄생한다

p381-382 윤석열 정부의 부동산 공약. 대통령이나 행정기관 소속의 공약은 국회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공약에 비해 빠른 시일에 실행될 확률이 높다. 국회로 표시된 공약은 법 개정 절차가 필요하기에 (시간이 걸린다)

->정책마다 절차가 있기에 빠르게 시행되는 것과 시간이 걸린 것들을 생각해볼 수 있구나.


One massage : 좋은 투자란 사는 순간 버는 것이다.

One action : 매임시 매도자에게 필요한 부분 파악하기(협상점 찾기)


BM1_투자에 들어간 노력은 이자비용 없이 적은돈으로 큰 자산을 사들이는데 따르는 대가임을 기억하자.

BM2_10채까지는 경험이다. 경험을 쌓아라.

BM3_투자기준인 싸.투.감 이면 투자한다.

BM4_비교평가를 위한 앞마당 넓히기에 힘쓴다.

BM5_협상은 때쓰기가 아닌 상대가 필요한 것을 알고 윈윈작전으로 하기.





댓글


오둥이네
24. 05. 29. 11:53

유나님 !!! 항상 열심히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유나님은 꼭 좋은 결과 맺으실꺼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