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아주 작은 습관의 힘 - 제임스 클리어
인생은 대게 습관으로 결정된다.
모두 똑같은 습관을 가지고 있다면 누구라도 똑같은 결과밖에 나오지 않는다.
한순간도 극적인 전환점이란 없다.
성공은 일상적인 습관의 결과다. 우리의 삶은 한순간의 변화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중대한 돌파구의 순간이란 대개 이전의 수많은 행위들이 쌓이고 쌓인 결과다.
습관의 과정 초기와 중기는 이른바 '낙담의 골짜기'가 존재한다.
'잠재력 잠복기'라고 부르는 기간을 돌파할 때깨지 습관을 유지해야 한다.
목표는 무시하라. 중요한 건 시스템이다.
(부자라는 목표는 무시하고, 부자가 되기 위한 과정에 집중하라)
습관은 어떤 것을 얻고자 함이 아닌 어떤 사람이 되는 것!
결과는 없다. 과정속에 내가 존재하고 그 과정이 내가 되는 것이다.
나의 믿음을 계혹 편집, 정체성을 수정/확장해야한다.
습관이 자리잡으면 더 이상 우리 뇌는 그 행위에 에너지를 들이지 않는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일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단축키를 익히는 행위 등)
신호, 열망, 반응, 보상이라는 네가지 습관 모델로 구성된다.
신호,열망은 문제국면/반응, 보상은 해결국면으로 구분
첫번째 법칙 : 분명해야 달라진다.(신호)
습관을 촉발시키는 신호들은 기본적으로 눈에 잘 보이는 흔한 것에서 시작된다.
좋은 습관이던 나쁜습관이던 일단 직시해라.
행동은 늘 인지에서 시작된다.(시간/장소)
환경을 변화시켜 시각 신호를 분명히 하라.
한가지 습관이 일어나는 맥락을 다른 것과 섞이지 않게 하라.
(예시, 책상 위는 공부/강의 공간. 버스는 책 읽는 공간. 라운지 체어는 휴식과 SNS 공간,
침실은 잠자는 공간)
언제-어디서-어떤행동을 하겠다고 명확하게 계획하라.
(예시, 매일 출퇴근 시간에 버스에서 책을 15-5 법칙으로 읽는다.)
(침실에 절대 휴대폰을 가지고 올라가지 않는다.)
매일 하는 행동과 행동 사이에 습관을 끼어 넣는다.(습관 쌓기)
(예시, 샤워 후 옷입기 전에 코어 운동 30/2세트를 한다.
(세트와 세트 사이에 비타민을 챙겨 먹는다.)
반대로 나쁜 습관은 애초에 눈에 보이지 않게 환경을 만들어라.
자제력은 단기적 전략이지 장기적 전략이 아니다.
두번째 법칙 : 매력적이어야 달라진다.(열망)
습관은 도파민이 주도하는 피드백 순환작용이다.
결국은 그 행위를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것을 상상하며 행동하는 것이다.
보상에 대한 예측이지, 실현이 아니다.
매일하는 행위 속에 해야하는 습관과 원하는 것을 묶어라.
(예시, 출근하면서 책을 읽고 상향감으로 하루를 시작해야지)
우리는 가까운 사람 - 다수 - 유력자의 영향을 받는다.
내가 되고자하는 행위를 하는 사람들 속에서 좋은 행위가 일어난다.
주변 환경이 좋을 수록 나의 좋은 행위가 인정받기 때문에 매력적이라고 느껴진다.
해야한다가 아니라 해낸다로 바꿔라.
즉, 습관이 부담이 아니라 기회로 느끼게끔 생각하라.
(예시, 아침 운동은 머리를 깨우고 허리를 안 아프게 하는 행위야
지금 아끼는 행위는 미래 성공의 일부를 돈으로 구매하는 아주 쉬운 행위야)
세번째 법칙 : 쉬워야 달라진다.(반응)
결과를 바라기만 하고 그 동작만 반복하는 이유는 실패할 위험 없이 그 과정을 겪는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그저 움직이기만' 한다.
동작의 반복이 유의미한 결과로 이어지는 것은 그저 반복하는 것이다.
습관은 시간이 아니라 횟수에 기인한다.
쉽고 작게 만들어서 반복하라.
우리는 습관이 목적이 아니라 그 습관이 가져다주는 결과가 목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쉽고 작게 만들어서 하기 싫은 기분이 들더라고 할 수 있게 해야한다.
반대로 고치고 싶은 나쁜 습관은 하기 어렵게 만들어라.
(예시, sns를 하지 않기 위해 어플을 지우고 계정을 삭제한다.)
네번째 법칙 : 만족스러워야 달라진다.(보상)
지금은 '지연된 보상 환경'이다.
행동이 수년간 반복되어야 비로소 보상이 전달된다.
인간의 하드웨어는 20만년 전과 다르지 않지만, 지연된 보상환경은 고작 500년 정도 됐다.
즉, 인간은 아직 이런 환경에 적응 하지 못했고 여전히 빠른 보상을 선호한다.
이를 '시간 비 일관성' 또는 '과장된 가치 폄하'라고 한다.
미래의 보상보다는 현재의 확실한 보상에 가치를 둔다.
이 때문에 몸에 나쁜 걸 알면서도 담배를 피고, 미래 자금을 끌어다 현재에 소비하는 것이다.
이를 활용하여 좋은 습관에는 즉시적인 만족감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려운 이야기지만 그 습관 자체를 즐기는 것이 중요하다.(재밋다 재밌다...^^)
즉시적 만족감을 주기 위해서는 시각적으로 기록하고 누적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습관 추적'은 우리의 행동을 부추기고 왜곡 없이 기록하게 해준다.
앞으로 나아가게 하고, 만족감을 준다.
원하는 사람이 되어간다는 시각적 증거를 하나씩 쌓아나가면서 즉각적인 만족감을 준다.
*하루를 거르면 가능한 빨리 되돌아가려고 애써야 한다.
이것이 승자와 패자가 갈리는 순간이다. 성공한 사람은 빨리 돌아온다.
빨리 회복된다면 무너진 것은 중요하지 않다.
*전부가 아니면 소용 없다는 생각을 버려라.
실패하는 법을 배우고 다시 성공의 길로 들어오는 것이 중요하다.
주의 해야 할 점은 단순한 반복이나 추적, 기록이 맹목적이 되지 않도록 하라.
습관의 본질을 생각하고 행위에서 본질적 성취가 있도록 의식적인 노력이 필수다.
믿음과 자신감이 있다면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이다.
*습관이 어느 날엔가 하기 싫어지는 순간이 왔을 때 앞으로 나아가는 것.
이것이 아마추어와 프로의 차이를 만든다.
남들과 차이를 만드는 순간은 그 일이 흥미롭지 않을 때도 계속해나가는 능력이다.
*정체성은 상황이 변했을 때 유연하게 변화 가능하도록 수립한다.
나의 정체성은 어제보다 오늘 육체적 정신적 지적으로 한걸음 더 나아가는 것, 그 과정에서 주변과 상생하는 사람이다.
댓글
완벽그잡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