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드디어 지기의 마지막 게리롱님의 부산 강의가 시작되었습니다.
임보를 작성 할때 많은 서식과 툴로 월부인들에게 큰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 게리롱님을 실제로 보게 되어 영광이였습니다!
첫 지방임장을 대전으로 삼은 이유는 아무래도 수도권에서 그나마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이기 때문이였는데 대구도 아닌 울산도 아닌 인천과 가장 먼 부산을 가야한다는 생각이 솔직히 아직까진 들지 않고있습니다.( 꾸준히 하다보면 언젠간 방문하겠죠)
거리 외에도 자치구가 16개나 되는 지역이기 때문에 범접하기 꺼리는 구였는데, 그래도
워낙 큰 인구 수의 수요가 있는 특징이 있어 이번 게리롱님의 강의로나마 먼저 부산을 이해하고 알아가는데 힘써아겠다 생각이 들었습니다.
듣다보면 좀더 집중해야할 생활권이 있을거아 하셨으니 마지막 주차 강의 시작하려합니다!!
부산 16개 구를 빠르지만 임팩트있게 살펴보았습니다. 2강을 통해 딱 어느 생활권이 가장 좋은 곳이고, 투자처로서 꼭 앞마당으로 만들어놔야할 지역들이 추려지는 내용이였습니다.
각 지역마다 특징들이 생각보다 뚜렷해서 놀랐는데요. 입지를 파헤쳐보면서 구체적으로 지역의 가치를 따져보았습니다.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단순히 정량적인 지표 SA B만으로 해당 지역을 고정시키기보단 좀 더 질적인 정성적 요소도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였습니다.
인구규모가 큰 부산이기 때문에 인구 비율에 따라 봐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였습니다.
이전 주차 다른지역 강사님이 말씀해주신 것처럼 인파트구에 너무 투자하지 않고 중점적으로 봐야할 요소들을 있다는걸 또 강조해주셨고
타 지역에 비해 약간 애매한 부산 학군을 어떻게 봐라바야할지 알려주셨습니다.
환경의 요소 중 ㅌㅈ가 몰려있는 곳이 좋은 곳이라는 것과 질적인 요소들을 봐야 제대로된 가치를 파악할수 있다는 걸 알게되었습니다.
지방기초 강의를 들으면서 공급이 지방투자에 중요한 요소인걸 알고 있었는데 해당 지역별로 공급이 규모가 얼만한지 또한 그 시기를 파악하는게 중요하다는걸 알았습니다.
단순히 0.5%를 계산에서 보는 것을 지양해야겠다 생각했습니다.
교통까지 입지요소를 파악하였는데 매겨진 등급으로만 절대적안 선호도를 나타낼수는 없다는게 약간 이해가 되지않았습니다. 입지분석하면 등급인데.. 참고용이라니.. 어떻게 바라봐야하는지 좀더 고민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가치를 파악 한 후 가격을 입혀보았습니다... 전혀 모르는 지역의 가격들을 보는 건 참 힘들었습니다. 졸았습니다...
상급지 생활권은 서울 중간 생활권 만큼 좋다!
부산의 투자전략을 말씀해주셨습니다.
규모가 큰 지역이기 때문에 수도권과 지방중소도시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는데요,
많이 헷깔려하는 3가지 특징들에 대한 투자자로서의 인사이트를 알려주셨습니다.
00보다는 00의 요소에 대해 더 큰 비중을 두고 보는게 더 낫다! 00이 있을 땐 어느지역까지는 괜찮다 등 부산의 난코스의 기준을 마련해주셨습니다. 추후 부산 임장 시 꼭 기억해두었다가 적용해야겠습니다.
마지막 지방광역시에 대해 총정리를 해주셨습니다. 제가 앞마당으로 만들고 있는 대전은 가치가 매우 좋지만 아직까지는 투자를 쉽게 할 수 있는 지역은 아니라는거 (어차피 종잣돈 없음...) 다만 종잣돈만 있으면 지금 당장 울산으로 가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대전 2개구 앞마당 만들고 생각해보아야겠습니다.
투자를 꾸준히 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당장 1호기를 하고 싶고 10억을 빨리 달성하고 싶지만 상황이 그렇지 않기에 어차피 오래해야 하기 때문에 ! 자신있는 앞마당 10개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정진하겠습니다.
결론은 대전 서구 결론까지 무조건 작성하기!
댓글
쓰타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