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1강: 광역시 위상> 구별 입지와 특징> 생활권 선호도> 내가 투자할 단지 (구축도 투자 가능한 지방도시)
2강: 주요생활권 우선순위 나누기, 구별 특징 알기
3강: 입지
인구: 인구연령비ㅣ, 세대당 인구수 살펴보고 정리하고 가설 세워보자. 인구이동 구별로 나눠보자
직장: 양과 질에서 광역시 중에서 중간이구나. 전국 산업체별 사업자수, 종사주수 본 후에 구별로 정리해보자
D지역 일자리 중간정도이고 여기여기에 밀집되어 있구나
학군: 학업성취도와 학원가 지도위에 올려보자. 답이 나오는듯하다. 상위학군과 가성비 학군이 나온다.
4강: 입지
환경: 구별 스타벅스 갯수로 보기. 백화점 매출로 보기+방문시 느낌보기, 주의-여기 D지역은 연식보다 입지중요
공급: 사람들이 좋아하는 위치에 들어오는 공급 잘 봐라. 구별로 전세가 변화 세밀히 지켜볼 것
교통: 어느정도는 중요. 직주근접 중요성 있다.
총정리: 지도위에 올려보자(인구, 직장, 학군, 환경)=>결론내보자.(구별 우선순위)
5강: 시세
가격은 외우는 게 아니고 감 잡는 거다. 지금 D지역 가치대비 싸다.
전세가가 올라 올 수 있는 상황이고 매매가는 아직이다. 입지와 연식을 섞어서 비교하네.
6강: D지역 투자전략
지방광역시는 입지와 연식을 함께 고민해라.
D지역 구축투자는 중상위 입지 이상이면서 선호도 있어야 한다.
교통이 중요한 곳이라면 역세권 프리미엄 일부 존재하지만 그게 아니라면 개별 단지에 대해 거주 수요가 더 중요
7강
A지역: 꾸준한 초과 공급. 좀 더 지켜보기
B지역: 25년 이후 공급 감소, 전세가 지켜보기
C지역: 24년 이후 공급이 가장 부족한 지역, 금방 기회온다.
D지역: 공급 개별로 지켜보면서 전세 지켜보자(강사님도 보는 지역)
---------------------
나도 따라해야겠다고 생각한 부분은
*와이파이 전략
*인구 살펴본 후 가설 세워보기
*직장 사업체수 종사자수 본 후, 구별로 직종별 수 정리해보기
*학업성취도와 학원가를 지도에 올려보기
*스타벅스 지도위에 갯수 보기
*백화점 매출보기
*총정리(인구, 직장, 등)로 지도에 올려보기
*가격 비교해보기
-------------------------
게리롱 강사님의 마직막 강의를 들으며 조급함을 부르는 나의 목표를 수정해야하지 않나 싶었습니다.
언제든 투자할 수 있는 사람이 되는 것.
제대로 된 앞마당을 10개 만드는 것
과정도 목표임을 아는 것.
현재도 삶의 순간이고 빛나야 하고 꿈 자체라는 걸 항상 되새겨야겠다 싶습니다.
4주간의 강의 감사합니다.
댓글
께롱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