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바라기만년필입니다.
실전24기
4주차 강의 후기입니다.
[수도권 투자를 어렵게 하는 것들]
월부방식을 배우면서
많은 분들이 각자의 전략에 대해
고민하시는 것 같습니다.
그 고민의 과정에서
소액으로 투자하는 법인 줄 알았는데..
수도권은 1억~2억이 필요한데?
2번째, 3번째면 세금은??
지방투자를 하다가 돈이 떨어졌는데
수도권에 기회가 온다면 어떻하지?
등등의 의문점과 함께
망설이게 되시는 것 같습니다.
그동안 강의를 들으며
수도권과 지방의 흐름은 다르고,
종잣돈이 1억 넘게 있다 하더라도
수도권이 오르는데 얼마의 시간이 흐를지
알 수 없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그리고 경험이 중요함을 경험을 통해 알고 있습니다.
세금은...
많이 내고 싶습니다. ㅎㅎ
1억을 벌고 7천을 세금으로 내더라도
3천은 제가 일년 내내 일해도
못 모을 돈이니까요.
나의 상황에 맞게 고민하고 전략을 세워
결정한 다음에는 흔들리지 않고
밀고나가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현재 부동산 시장 전망]
어디를 살지 알기 위해
열심히 앞마당을 늘려나가는 중입니다.
그런데 좋은 것도
아무때나 사면 수익은 커녕
자칫 잃을수가 있습니다.
(경험 중....)
언제 살지를 판단하려면
시장 상황을 이해해야 하는데요.
그 3가지,
정책, 금리, 수급
상황을 파악하면 됩니다.
양도세, 취득세의 감면,
임대사업자 제도 부활,
DSR 등 대출규제완화와 같은
정책들을 통해 정부가 현재 시장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저희는 활용할 수 있는 정책들을
미리 숙지하고 상황에 대응하면 됩니다.
금리의 경우,
전세자금대출과 연관되어
전세레버리지 투자를 하는 저희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전세수요와도 연관이 되는 만큼
흐름을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하겠습니다.
공급장표를 작성하면서
매번 해석을 잘 못하였었는데
공급이 부족한 조정장과
공급이 풍부한 조정장의
차이에 대해 알 수 있었습니다.
서울, 경기도, 인천의 공급예정 물량을
모두 정리해주셨는데요.
장표에 활용하도록 하겠습니다.
공급의 영향으로 기회가 좋아질 지역
미리 지켜보도록 하겠습니다.
알려주신 정책, 금리, 수급상황을
파악하고 현재 시장상황에 기민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수도권 투자기회를 잡기 위해 알아야 할 것들]
서울, 경기도의 현재 가격수준과 서열
서열이 뒤틀린 지역이 있다면 쌀 수도.
같은 투자금으로 어느 단지에 투자했느냐에 따라
시세차익은 수억까지도 차이 날 수 있습니다.
설사 투자금을 조금 더 들어간다 하더라도
투자금 이상의 시세차익의 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이것이 저희가 임장을 하고 임보를 쓰고
단지의 순위를 생각해보는
이유입니다.
임장지의 위상,
임장지의 가치를 만든 요소
임장지의 가치를 더욱 높일 요소
에 대해 잘 파악한다면
임장지에서 더 좋은 투자대상을
골라낼 수 있을 것입니다.
위상을 알기위한 가격과 가격의 변화를
서울과 경기도의 급지별로
설명해주셨는데요.
한번에 전체를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전세가율의 경우도 지역별위상과 가격수준에 맞게
각각 기준을 세우고, 해당 수치를 지속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하락장을 대하는 투자자의 자세]
시장 상황과 가격은 변하지만
투자대상의 가치와
투자 원칙과 기준은 변하지 않습니다.
온전한 돈으로
자신의 투자기준으로 흔들리지 않고
투자하고 기다리는 것.
계속 워딩으로는 배우지만
마음에 깨달음으로 와닿는 것은
다른 것 같습니다.
가르쳐주신 그대로
행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BM
경제기사읽기를 통해 정책과 금리 f/u
임보 작성시 공급 확인하고 그 공급이 어느 지역까지 영향을 주는지 확인
지역별 위상 다시 한 번 복습하여 정리
지역별 전세가율 기준 설정 / 단지별 투자적기 파악
나만의 투자기준을 계속 다듬어서 명확하게 만들기
좋은 강의 만들어주시느라
애쓰신 양파링 멘토님 감사합니다 ; )
댓글
해바라기만년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